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방송통신대학교
- 방통대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문제
- 기출문제
- 상담심리학 기출문제
- 기출
- 기출문제 해설
- 방통대
- 정독도서관
- 방통대 유아교육과
- 구내식당
- 기말고사
- 방통대 기말고사
- 시험
- 상담심리학 모의고사
- 상담심리학
-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해설
- 유아교육과
- 방송통신대학교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유아교육과 기말고사
- 소담정
- 학생
- 유아교육
- 영유아발달
- 학우
- 놀이지도
- 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Archives
- Today
- Total
호혜 블로그
아동미술 기말시험 모의고사(2017년) 본문
728x90
2017 아동미술 기말시험
문제를 읽고 정답을 선택하세요. 선택 후 결과와 해설이 표시됩니다.
시험 정보
과목: 아동미술
시험 종류: 기말시험
출제 범위: 교재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13-15강 제외), 워크북
출제위원: 방송대 이소은
제작 정보
웹앱 제작: 유종경
제작 연도: 2025
1. 아동미술의 기본 성격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아동미술은 아동의 흥미와 경험을 반영하며, 특히 인물은 아동이 자주 다루는 주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아동이 자신과 주변 사람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는 자연스러운 방식입니다.
2. 아동미술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해설: 아동미술은 주로 창의성, 정서 표현, 인지 발달에 기여하지만, 리더십과 통솔력은 미술 활동의 직접적인 효과라기보다는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요소입니다.
3. 다음은 아동미술의 목적 중 어떤 영역의 발달과 관련되는가?
- 미술활동을 통해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신장될 수 있다.
- 목표를 세우고, 탐색하고, 그리고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아동은 지속적인 주의집중의 과정을 경험한다.
해설: 주의집중력과 목표 설정은 인지 발달의 핵심 요소로, 아동이 미술 활동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사고력을 키울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4. 서구의 아동미술교육 역사에 대한 내용을 바르게 제시한 것은?
해설: 산업혁명 이후 실용적 필요와 아동 중심 교육 철학(예: 루소, 프뢰벨)의 영향으로 미술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에 포함되기 시작했습니다.
5.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의 특징으로 바른 것은?
해설: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은 기술적 숙련을 위해 반복 훈련을 강조하며, 이는 전통적인 미술교육 방식에서 두드러집니다.
6.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이 나타나게 된 사회문화적 배경으로 옳은 것은?
해설: 표현주의는 개인의 내면과 창의적 표현을 중시하며, 이는 20세기 초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7.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의 대표적 학자와 거리가 먼 것은?
해설: 펠드만은 주로 미술 비평과 감상 중심의 DBAE를 제안한 학자로, 창의성 중심 교육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8. '아동들은 사물을 본 대로 그린다. 즉 아동들의 그림은 그들이 시각적 세계를 지각하는 방법을 그대로 묘사한다'라고 설명하는 이론은?
해설: 지각발달이론은 아동의 그림이 시각적 지각 능력을 반영한다고 보며, 이는 해리스 등의 연구에서 강조됩니다.
9. 인물화 검사의 특징으로 바른 것은?
해설: 인물화 검사(구디너프)는 인지 발달 수준에 따라 그림의 세부 묘사가 증가한다고 보며, 이는 지능 평가의 기초가 됩니다.
10. 개성표현이론에서 주장하는 유아의 색채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개성표현이론(알슐러 등)은 색채 사용이 아동의 정서와 행동을 반영한다고 보며, 난잡한 색칠은 적응 문제로 해석됩니다.
11. 아동미술을 보는 관점과 대표적인 학자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해설: 켈로그는 발생반복이론을 통해 아동의 낙서가 진화적 단계를 따른다고 주장했습니다.
12. 의식적인 표현과정을 시도하는 첫 단계로, 그려진 것과 실제의 관련성을 발견하는 시기는?
해설: 전도식기(2~4세)는 아동이 낙서를 통해 의식적 표현을 시작하며, 그림과 현실의 연결을 인식하기 시작하는 단계입니다.
13. 켈로그의 미술발달단계 중 '도형의 정교화' 시기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켈로그에 따르면, 도형의 정교화 단계에서 만다라와 같은 복잡한 패턴이 나타나며, 이는 아동의 조형 능력 발달을 보여줍니다.
14. 아동미술의 일반적인 특징과 그 예가 적절하게 제시된 것은?
해설: 동시성의 표현은 아동이 사물을 여러 시점에서 동시에 그리며, 이는 아동미술의 전형적인 특징입니다.
15. 아동미술에서 나타나는 구도의 표현 특징으로 옳은 것은?
해설: 아동은 종종 화면을 열십자형으로 나누어 구도를 구성하며, 이는 공간 인식의 초기 형태를 보여줍니다.
16. 아동미술에서 나타나는 색채의 표현 특징으로 옳은 것은?
해설: 아동은 색채를 형태를 강조하거나 구분하는 도구로 사용하며, 이는 주관적 표현의 특징입니다.
17. 원시미술과는 다른 아동미술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아동미술은 도식적 상징을 통해 개인의 개념을 표현하며, 이는 원시미술의 의례적 목적과 구분됩니다.
18. 리드(Read)의 아동미술 표현 유형 구분에 대한 설명 중 다음에 해당하는 유형은?
- 관찰한 소재를 반복해 그려서 화면 가득 차게 표현함
- 실제 사물의 형태와 달리 거꾸로 표현하거나 변형하여 표현하는 다채로움을 보이기도 함
해설: 리드의 율동형은 반복적이고 변형된 표현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아동의 리듬감 있는 표현 방식을 보여줍니다.
19. 로웬펠드가 제시한 아동의 표현유형 중 '시각형'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로웬펠드의 시각형은 시각적 관찰에 기반해 대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20. 다음의 항목이 주요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아동미술의 평가방법은?
- 오늘 작업이 어땠니?
- 오늘 작업에서 무엇이 좋았니?
- 혼자서도 잘 할 수 있었니?
- 사용할 재료나 도구가 충분했니?
- 다음에 하고 싶은 작업은 무엇이니?
해설: 자기평가법은 아동이 자신의 작업을 반성하고 평가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21. 미술치료의 장점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미술치료의 결과물은 영속적이어서 이후 분석과 치료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주요 장점 중 하나입니다.
22. 다음에 해당하는 미술치료의 이론적 배경은?
- 기본목표는 한 개인을 총체적으로 보아 자아실현과 성취를 이루도록 하는 것
- 두려움이나 불안의 탈피보다 진정으로 표현한 결과 얻어지는 성취감에서 비롯되는 기쁨, 유쾌한 흥분 등을 목표로 함
해설: 인간 중심 미술치료(로저스 기반)는 자아실현과 긍정적 경험을 강조하며, 이는 문제의 설명과 일치합니다.
23. 아동미술치료의 매체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바르게 제시한 것은?
해설: 우울한 아동에게 신문지나 분필은 감정 표현을 억제할 수 있어 부적합하며, 이는 매체 선택 시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24. 미술치료에 있어 '미술'과 '치료', 두 측면의 타당성을 인정하고 통합을 강조한 미술치료자는?
해설: 울만은 미술과 치료의 통합적 접근을 강조하며, 두 요소의 균형을 중시한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25. 경직된 성격의 아동에게 적당한 미술재료는?
해설: 점토는 유연성과 촉각적 자극을 제공하여 경직된 성격의 아동이 감정을 풀어내는 데 적합합니다.
26. 다음 중 미술지도교사의 개인적 자질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인내심과 개방성은 교사의 개인적 자질로,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필수적입니다.
27. 아동미술지도를 위한 교수학습의 기본 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해설: 아동미술지도는 놀이, 개방성, 개별화를 중시하지만, 정서 중심은 일반적 원리보다는 특정 접근법에 가깝습니다.
28. 다음에서 설명하는 교수방법은?
- 여러 명의 아동들이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의존적인 공동의 노력을 통해 공동작업을 수행하도록 돕는 교수법
해설: 협력학습 교수법은 아동 간 협력을 통해 공동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며, 이는 사회적 학습 이론에 기반합니다.
29. 미술표현의 주요 재료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해설: 지점토는 종이와 풀을 혼합해 만드는 재료로, 아동이 쉽게 다룰 수 있는 재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30. 부드러운 느낌의 미술재료의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부드러운 재료(예: 점토, 물감)는 억압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도록 도와주는 특성을 가집니다.
31. 다음에서 설명하는 교수방법은?
- 미술을 작품제작, 미술사, 미학, 미술 비평의 네 분야로 보고, 이 네 분야가 미술교육 속에서 함께 통합되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교수 방법
해설: DBAE(Discipline-Based Art Education)는 미술의 네 가지 영역을 통합적으로 가르치는 방법론입니다.
32. 미술영역의 구성에 포함되어야 할 공간과 거리가 먼 것은?
해설: 미술영역은 작업, 전시, 탐색 공간이 필수적이지만, 휴식 공간은 직접적 관련성이 적습니다.
33. 미술감상교육의 필요성과 거리가 먼 것은?
해설: 미술감상교육은 정서적, 문화적 이해를 돕지만, 전문적 성장은 주로 실기 중심 교육의 목표입니다.
34. 미술 감상교육을 올바르게 지도하기 위한 기본방향에 대한 설명이 바르게 된 것은?
해설: 감상교육은 아동이 다양한 미술문화를 접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기본 방향입니다.
35. 감상지도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해설: 모의 미술관법은 실제 전시 환경을 조성해 감상을 체험하게 하며, 이는 효과적인 감상지도 방법입니다.
728x90
반응형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아동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미술 기말시험 모의고사(2019년) (0) | 2025.03.06 |
---|---|
아동미술 기말시험 모의고사(2018년) (0) | 2025.03.06 |
아동미술 기말시험 모의고사(2016년) (0) | 2025.03.06 |
아동미술 기말시험 모의고사(2015년) (0) | 2025.03.06 |
아동미술 기말시험 모의고사(2014년) (0) | 202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