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2013년)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모의고사(2013년)
문제를 읽고 항을 클릭하여 정답을 확인하세요.
시험 정보
과목: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
시험 종류: 기말시험
출제범위: 교재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워크북
출제위원: 방송대 이소은
제작 정보
웹앱제작: 유종경
문제 1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교육사상가는?
- 교육의 기회는 일반 대중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빈민층 아동을 위한 교육에 헌신함
- 아동은 감각관찰과 지각에 의해 배운다고 봄
1. 프뢰벨 | 2. 페스탈로치 |
3. 로크 | 4. 루소 |
해설: 페스탈로치는 실천을 통해 교육이론을 발전시켰으며, 빈민층 아동을 위한 교육에 헌신하고, 감각과 지각을 통한 학습을 강조했다. 이는 그의 교육철학의 핵심이다.
문제 2
성숙이론과 거리가 먼 학자는?
1. 헤켈 (Haeckel) | 2. 콕힐 (Coghill) |
3. 게젤 (Gesell) | 4. 카미 (Kamii) |
해설: 성숙이론은 발달이 유전과 생물학적 성숙에 의해 주도된다고 본다. 헤켈, 콕힐, 게젤은 이를 지지했으나, 카미는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따르는 구성주의자로 성숙이론과 다르다.
문제 3
학습이론의 대표적 학자와 그의 주장이 바르게 제시된 것은?
1. 파블로프 - 인지적인 재현과 모방 강조 | 2. 반두라 - 고전적 조건형성 |
3. 스키너 - 조작적 조건형성 | 4. 왓슨 - 사회적 상호작용 중시 |
해설: 스키너는 조작적 조건형성을 통해 보상과 처벌로 학습을 설명했다. 파블로프는 고전적 조건형성, 반두라는 사회학습이론, 왓슨은 행동주의를 대표한다.
문제 4
브론펜브레너가 제시한 다섯 개의 환경체계 중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 예: 보육시설, 부모, 친구, 교사 등
1. 미시체계 | 2. 중간체계 |
3. 외체계 | 4. 거시체계 |
해설: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이론에서 미시체계는 아동이 직접 접촉하는 환경(가정, 보육시설 등)을 의미한다.
문제 5
'작은 사물이나 세부적인 것에 대한 민감기'의 시기가 바르게 제시된 것은?
1. 출생 후 3년 | 2. 생후 6개월 ∼ 만 2.5세 |
3. 만 1 ∼ 2세 | 4. 만 2 ∼ 4세 |
해설: 몬테소리의 민감기 이론에 따르면, 작은 사물에 대한 민감기는 만 1세에서 2세 사이에 두드러진다. 이 시기에 아동은 세부적인 관찰과 조작에 집중한다.
문제 6
몬테소리 프로그램에서 교사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아동관찰자 | 2. 평가자 |
3. 안내자 | 4. 환경제공자 |
해설: 몬테소리에서 교사는 관찰자, 안내자, 환경 제공자로 활동하며, 아동의 자율성을 중시한다. 평가자는 외부 판단을 의미하므로 몬테소리 철학과 거리가 멀다.
문제 7
몬테소리 교구의 원리 및 규칙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아동의 흥미유지를 위해 교구의 반복 사용을 피한다. | 2. 교구사용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는 교구의 두 측면에서 나타난다. |
3. 추상적으로 개념을 표현하는 교구에서 시작해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교구사용으로 옮겨 간다. | 4. 오류의 통제는 교구에 내재되어 있다. |
해설: 몬테소리 교구는 '오류의 통제' 원리를 통해 아동이 스스로 오류를 인식하고 수정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자율적 학습의 핵심이다.
문제 8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이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 2.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이론 |
3. 펠드만의 영역별 발달이론 | 4.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해설: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은 에릭슨, 비고츠키, 피아제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지만, 펠드만의 영역별 발달이론은 주요 기초로 사용되지 않는다.
문제 9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아동관을 잘 표현하는 용어에 해당하는 것은?
1. 전인적 아동 | 2. 수동적인 학습자 |
3. 자극-반응의 법칙에 따라 행동하는 존재 | 4. 아무것도 그려져 있지 않은 백지 |
해설: 뱅크 스트리트는 아동을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으로 통합된 '전인적 아동'으로 본다.
문제 10
하이스코프 프로그램의 교육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계획-실행-평가의 과정 | 2. 주요경험 |
3. 능동적 학습 | 4. 환경조성 |
해설: 하이스코프는 계획-실행-평가, 주요경험, 능동적 학습을 중시하지만, 환경조성은 몬테소리에서 더 강조된다.
문제 11
다음은 프로젝트 접근법의 교육목표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1. 지식획득 | 2. 기술습득 |
3. 성향계발 | 4. 정서발달 |
해설: 프로젝트 접근법은 호기심, 탐구력, 끈기 등 학습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키우는 '성향계발'을 목표로 한다.
문제 12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한 학자와 이론의 요소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듀이 - 경험을 통한 아동중심 교육과 통합교육 | 2. 피아제 - 사회문화적 학습과정 |
3. 비고츠키 - 인지적 재현 및 모방 | 4. 에릭슨 - 새로운 지식의 인지적 구성주의 |
해설: 듀이는 경험과 아동 중심의 통합교육을 강조했으며, 이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주요 기반이다.
문제 13
프로젝트 접근법의 기본교육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아동의 흥미와 욕구에 따른 발현적 교육 | 2. 통합된 경험 제공 |
3. 시ㆍ공간의 제약이 없는 연속적 학습 | 4. 세부적인 계획에 따른 구조화된 교육 |
해설: 프로젝트 접근법은 아동의 흥미를 기반으로 유연하고 통합적인 학습을 지향하며, 구조화된 계획은 전통적 교수법에 가깝다.
문제 14
'질문목록 구성하기'는 프로젝트 접근법의 진행과정 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가?
1. 준비단계 | 2. 도입단계 |
3. 전개단계 | 4. 마무리 단계 |
해설: 도입단계에서 질문목록을 구성하여 주제에 대한 아동의 호기심과 사전 지식을 자극한다.
문제 15
프로젝트의 주제 선정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협동학습보다는 개별적인 활동 위주로 진행할 수 있는 주제 | 2. 지역사회의 문화와 가치가 반영된 주제 |
3. 한 가지 교과나 발달 영역의 향상을 도모하는 주제 | 4. 호기심 유발을 위한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는 주제 |
해설: 프로젝트 접근법은 지역사회와 연계된 주제를 통해 실생활과 연결된 학습을 촉진한다.
문제 16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기본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기록 | 2. 표상발달 |
3. 협력 | 4. 보상 |
해설: 레지오 에밀리아는 기록, 표상, 협력을 중시하지만, 보상은 행동주의적 개념으로 이 접근법과 맞지 않다.
문제 17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교육내용 및 활동과 거리가 먼 것은?
1. 정보화 교육 | 2. 프로젝트 탐구 |
3. 놀이활동 | 4. 민주시민 교육 |
해설: 레지오 에밀리아는 탐구, 놀이, 민주시민 교육을 강조하지만, 정보화 교육은 기술 중심으로 이 철학과 덜 부합한다.
문제 18
디스타 프로그램에서 교사의 역할과 거리가 먼 것은?
1. 직접적 교수자 역할 | 2. 평가자 역할 |
3. 공동 학습자 역할 | 4. 주도적ㆍ관리적 역할 |
해설: 디스타는 교사가 직접 가르치고 관리하며 평가하지만, 공동 학습자는 구성주의적 접근으로 디스타와 다르다.
문제 19
슈타이너가 제기한 발달단계론 중 1단계인 '물리적 육체' 다음에 오는 단계는?
1. 감성체 | 2. 생명체 |
3. 자아체 | 4. 과정체 |
해설: 슈타이너의 발달단계는 물리적 육체(0-7세), 생명체(7-14세), 감성체(14-21세), 자아체 순으로 진행된다.
문제 20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교육원리와 거리가 먼 것은?
1. 리듬과 반복교육 | 2. 모방과 본보기 교육 |
3. 생활주제 중심 교육 | 4. 감각중시 교육 |
해설: 발도르프는 리듬, 모방, 감각을 중시하지만, 생활주제 중심은 뱅크 스트리트에서 더 두드러진다.
문제 21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교육내용과 활동에 해당되는 것을 모두 제시한 것은?
㉡ 오이뤼트미와 라이겐
㉢ 놀잇감과 상상력 발달
㉣ 그리기
1. ㉠ | 2. ㉠, ㉡ |
3. ㉠, ㉡, ㉢ | 4. ㉠, ㉡, ㉢, ㉣ |
해설: 발도르프는 예술, 오이뤼트미, 놀잇감, 그리기 등 창의적 활동을 모두 포함한다.
문제 22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놀잇감으로 적절한 것은?
1. 로봇 | 2. 테디 베어 |
3. 전기 자동차 | 4. 조개 껍데기 |
해설: 발도르프는 자연 소재(조개 껍데기 등)를 선호하며, 인공적 장난감(로봇, 전기 자동차)을 피한다.
문제 23
다음은 다중지능이론에서 제시하는 지능영역 중 어느 영역에 해당하는가?
- 집단과 협동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1. 대인관계지능 | 2. 언어지능 |
3. 개인이해지능 | 4. 자연탐구지능 |
해설: 가드너의 다중지능에서 대인관계지능은 타인과의 협력과 이해를 포함한다.
문제 24
영역별 발달이론에서 제시하는 발달적 구성체의 연속체 상에서 '범문화적인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언어 | 2. 대상영속성 |
3. 3R | 4. 비행기술 |
해설: 언어는 문화에 따라 다르게 발달하는 범문화적 요소이며, 대상영속성은 보편적이다.
문제 25
영아를 위한 환경구성에서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2가지를 바르게 제시한 것은?
㉡ 건강
㉢ 인지적 자극
㉣ 안전
1. ㉠, ㉢ | 2. ㉡, ㉢ |
3. ㉡, ㉣ | 4. ㉢, ㉣ |
해설: 영아 환경에서 건강과 안전은 생존과 발달의 기본 요소로 최우선이다.
문제 26
만 2세 미만 영아를 위한 실내 환경구성에서 다음의 놀잇감이 비치되는 영역은?
1. 인지영역 | 2. 대근육 운동영역 |
3. 소근육 운동영역 | 4. 언어영역 |
해설: 이 놀잇감들은 손의 미세 조작을 요구하므로 소근육 운동영역에 속한다.
문제 27
만 2세 영아의 언어 발달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3∼6개의 신체 부위를 식별한다. | 2. 전보식 언어를 구사한다. |
3. 조건문이나 인과관계 표현을 이해한다. | 4. 한 단어 발화를 시작하고 말과 몸짓을 섞어 표현한다. |
해설: 만 2세 영아는 두 단어로 된 전보식 언어(예: "엄마 밥")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문제 28
만 4세의 사고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연역적 추론 | 2. 전환적 추론 |
3. 자기중심적 사고 | 4. 상징적 사고 |
해설: 만 4세는 전조작기로, 자기중심적 사고와 상징적 사고가 특징이다. 연역적 추론은 구체적 조작기 이후에 가능하다.
문제 29
만 3~5세를 위한 환경구성 시 유의점으로 옳은 것은?
1. 목공놀이는 반드시 실외환경 구성에 포함시켜야 한다. | 2. 공간확보를 위해 가변형으로 구성한다. |
3. 안전을 위해 설비와 기구는 고정식을 사용한다. | 4.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흥미영역별로 배치한다. |
해설: 흥미영역별 배치는 아동의 동기를 높이고 다양한 발달을 지원한다.
문제 30
다음은 실내공간 구성계획기준표이다. 옳게 짝 지워진 것은?

1. 제 1지역: 역할놀이영역 | 2. 제 2지역: 쌓기놀이영역 |
3. 제 3지역: 과학영역 | 4. 제 4지역: 미술활동영역 |
해설: 기준표에 따르면 제 2지역은 쌓기놀이영역으로, 유아의 조작 활동을 지원한다.
문제 31
다음에 해당하는 평가방법은?
- 입원원서, 가정생활조사서, 학습준비도 검사 및 다양한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통해 실시
1. 진단평가 | 2. 단원평가 |
3. 형성평가 | 4. 총괄평가 |
해설: 진단평가는 학습 시작 전 준비도를 확인하는 평가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한다.
문제 32
영유아 평가 시 유의할 사항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활동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둔다. | 2. 부모와의 면접, 일화기록, 체크리스트, 작품분석, 자기평가 등의 방법을 활용한다. |
3. 개인 내 차이보다는 개인 간 차이에 대한 평가에 초점을 둔다. | 4. 영유아의 행동이나 발달을 객관적으로 평가한다. |
해설: 영유아 평가는 개인의 발달 과정을 중시하며, 개인 간 비교는 적절치 않다.
문제 33
다음에 해당하는 평가방법은?
- 교수목표를 준거로 해 평가결과를 점수화하고 해석함
1. 상대평가 | 2. 절대평가 |
3. 포트폴리오 | 4. 관찰 |
해설: 절대평가는 목표 대비 성취도를 점수로 평가하며, 상대평가와 구분된다.
문제 34
다음 중 질적평가에 활용되는 방법은?
1. 포트폴리오 | 2. 사회성검사 |
3. 운동능력검사 | 4. 웩슬러 지능검사 |
해설: 포트폴리오는 아동의 활동 과정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대표적 방법이다.
문제 35
3~5세 유아를 위한 일과계획의 기본 원리로 적절치 않은 것은?
1. 일과는 일관성 있게 계획한다. | 2. 일과활동은 융통성 있게 운영되도록 계획한다. |
3. 유아의 신체적 욕구를 해결하는 시간을 배당한다. | 4. 오전에는 정적활동을, 오후에는 동적활동을 배치한다. |
해설: 일과는 유연성과 균형을 유지해야 하며, 고정된 활동 배치는 적절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