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유아동작교육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5년)
호혜 블로그
2025. 4. 25. 11:07
728x90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2015학년도 2학기 3학년 35문항
시험종류: 기말시험 | 출제위원: 방송대 전인옥
출제범위: 교재(2013년)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2014년)
웹앱제작: 유종경
1. 다음 중 동작을 위한 목표를 바르게 서술한 것은?
인지능력의 발달
정서와 사회성 발달
신체와 동작능력의 발달
창의성과 심미감 발달
모름
해설: 유아동작교육은 신체와 동작능력의 발달을 주요 목표로 삼는다. 이는 Gallahue(2006)의 동작발달 이론에 따라 신체적 능력과 운동 기술 향상에 초점을 둔다. 3번은 신체와 동작능력을 강조하므로 정답이다. 1번은 인지 영역, 2번은 정서적 영역, 4번은 창의적 영역에 해당하며, 동작교육의 핵심 목표와는 다르다.
2. 다음 유아동작교육의 내용을 구성하는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반복학습의 원리'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동작활동이 단계적으로 심화학습 되도록 계열화한다.
발달적합성의 원리
나선형의 원리
동심원의 원리
통합성의 원리
모름
해설: 나선형의 원리는 Bruner(1960)의 교육 이론에 기반하며, 반복적이고 단계적인 학습을 통해 동작이 심화되도록 설계된다. 이는 '반복학습의 원리'와 동일한 개념으로, 2번이 정답이다. 1번은 발달 수준에 맞춘 원리, 3번은 동심적 확장, 4번은 영역 간 통합을 의미하므로 부적합하다.
3. '조작동작'에 속하는 동작으로만 구성된 것은?
밀기, 당기기
앉기, 서기
돌리기, 돌기
균형잡기, 구르기
모름
해설: 조작동작은 물체를 다루는 동작(예: 밀기, 당기기, 던지기)을 포함한다(Gallahue, 2006). 1번의 '밀기, 당기기'는 조작동작에 해당하며, 2번은 안정동작, 3번과 4번은 이동 및 안정동작이 혼합되어 있으므로 1번이 정답이다.
4. '운동적성' 구성요소 중 '순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동으로만 구성된 것은?
오르기, 개구리 뛰기
오르기, 팔굽혀 펴기
팔굽혀 펴기, 막대 뛰기
개구리 뛰기, 막대 뛰기
모름
해설: 순발력은 짧은 시간 내 최대 힘을 발휘하는 능력으로, 개구리 뛰기와 막대 뛰기는 순발력을 요구한다(Fleck & Kraemer, 2004). 4번은 순발력 중심의 활동으로 적합하다. 1번과 2번은 근력, 3번은 근지구력과 혼합되어 부적합하다.
5. 유아들의 창의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사칙연산 질문법 중에서 “이것들의 비슷한 점은 뭘까?”라고 공통속성을 찾기 위한 질문은 어디에 속하는가?
더하기 질문법
빼기 질문법
나누기 질문법
곱하기 질문법
모름
해설: 나누기 질문법은 공통속성을 분석하고 분류하는 질문으로, “비슷한 점은 뭘까?”와 같은 질문이 포함된다(Torrance, 1966). 3번이 정답이다. 1번은 추가적 사고, 2번은 차이점 분석, 4번은 확장적 사고를 의미한다.
6. 다음 ( )에 적합한 유아를 위한 동작활동 기구의 배치유형은?
학기 초에는 유아들이 운동기구에 익숙해질 때까지 ( )를 하여 유아들이 기다리지 않고 모두 활동할 수 있게 한다.
병렬식 배치
시각적 배치
순환적 배치
공간적 배치
모름
해설: 병렬식 배치는 모든 유아가 동시에 활동할 수 있도록 기구를 병렬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초기에 익숙해지기에 적합하다(Sanders, 2002). 1번이 정답이다. 3번은 순차적 활동, 2번과 4번은 비교육적 용어로 부적합하다.
7. 유아가 '기어가기' 놀이를 할 수 있는 기구로, 일(一)자형, Y자형, T자형 등이 있는 대근육활동의 운동기구는?
소형 흔들 배
훌라후프
평균대
터널
모름
해설: 터널은 기어가기 놀이를 위한 대근육 활동 기구로, 다양한 형태(일자형, Y자형 등)를 가진다(Pangrazi, 2007). 4번이 정답이다. 1번은 균형, 2번은 조작, 3번은 평형 활동에 적합하다.
8. 유아동작교육에서 교사의 역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유아의 발달수준에 맞게 의성어와 의태어를 언어화한다.
유아의 엉뚱한 질문이나 남과 다른 생각을 무시한다.
융통성 있는 태도로 유아에게 탐색과 실험기회를 허용한다.
음악에 맞춘 동작보다는 교사의 언어적 지시가 효과적이다.
모름
해설: 유아동작교육에서 교사는 유아의 창의성과 개성을 존중해야 한다(NAEYC, 2009). 2번은 유아의 생각을 무시하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정답이다. 1번, 3번, 4번은 모두 교육적 역할에 해당한다.
9. 다음이 설명하는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 원리는?
'다양성의 원리'라고도 불리며, 유아의 개인차를 인정하여 다양한 거리의 던지기 등 공놀이를 진행한다.
놀이학습의 원리
개별화의 원리
탐구학습의 원리
다감각ㆍ다상징 표현활동의 원리
모름
해설: 개별화의 원리는 유아의 개인차를 인정하고 맞춤형 활동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성의 원리'와 동일하다(Froebel, 1826). 2번이 정답이다. 1번은 놀이 중심, 3번은 탐구 중심, 4번은 다중 표현에 해당한다.
10. 다음 중 탐색적 교수방법의 장점이 아닌 것은?
유아로 하여금 동작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한다.
유아의 개성을 인정하여 유아가 두려움을 갖지 않게 한다.
유아의 동작을 즉각적으로 알아차려 시간을 절약하게 한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수용하여 자기와 다름을 알게 한다.
모름
해설: 탐색적 교수방법은 유아의 자율적 탐구를 강조하지만, 즉각적 피드백으로 시간을 절약하는 것은 지시적 교수법의 특징이다(Dewey, 1938). 3번이 정답이다. 1번, 2번, 4번은 탐색적 방법의 장점이다.
11. 다문화 동작활동 <씨마마카>에 Gallahue 개념적 동작교수법을 적용할 경우, 6가지 학습유형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탐색 → 발견 → 선택 → 조합 → 경쟁적 수행 → 개별화
탐색 → 발견 → 조합 → 경쟁적 수행 → 선택 → 개별화
탐색 → 발견 → 조합 → 선택 → 경쟁적 수행 → 개별화
탐색 → 조합 → 선택 → 발견 → 경쟁적 수행 → 개별화
모름
해설: Gallahue(2006)의 개념적 동작교수법은 탐색, 발견, 조합, 선택, 경쟁적 수행, 개별화의 순서로 진행된다. 3번이 이 순서를 정확히 반영하여 정답이다. 다른 옵션은 순서가 틀리다.
12. Gilliom 동작교수법이 제시하는 기본동작 주제의 '신체인식' 개념 중 '신체관계'를 바르게 언어화한 것은?
가까이 - 멀리 - 꼬이게
천천히 - 부드럽게
무겁게 - 가볍게
세게 - 보통으로 - 약하게
모름
해설: Gilliom(1970)의 신체인식에서 신체관계는 공간적 관계(가까이, 멀리, 꼬이게)를 강조한다. 1번이 정답이다. 2번은 시간, 3번은 무게, 4번은 힘의 개념에 해당한다.
13. Weikart 동작교수법 '4단계 언어과정'에서 3단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말하며 움직이기(박과 동작의 조절)
생각하며 움직이기(내재화된 박)
속삭이며 움직이기(내재화된 박과 동작의 조절)
움직이지 않고 말하기(청각적 경험)
모름
해설: Weikart(1989)의 4단계 언어과정에서 3단계는 '속삭이며 움직이기'로, 내재화된 박과 동작 조절을 학습한다. 3번이 정답이다. 1번은 2단계, 2번은 4단계, 4번은 1단계에 해당한다.
14. 다음 ( 가 ), ( 나 )의 괄호 안에 적합한 리듬요소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Brown 리듬중심 동작교수법은 소리와 인간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박, 악센트, 마디, ( 가 ), 지속시간, ( 나 ), 악구의 일곱 가지 리듬요소를 동작교육내용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속도, 리듬유형
속도, 인식
리듬주제, 리듬유형
인식, 리듬흐름
모름
해설: Brown의 리듬중심 교수법은 박, 악센트, 마디, 속도, 지속시간, 리듬유형, 악구를 포함한다. (가)는 속도, (나)는 리듬유형으로, 1번이 정답이다. 다른 옵션은 리듬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15. 동작활동 <팽이가 되어요>에서 '팽이가 된 것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빙글빙글 돌아보세요.' 같은 교사 발문을 적용하는 동작교수법은?
Weikart 리듬적 동작교수법
Ritson 극적 동작교수법
Gilliom 신체적 동작교수법
Katz와 Chard 통합적 동작교수법
모름
해설: Ritson의 극적 동작교수법은 상상력과 극화를 통해 동작을 표현하도록 유도한다(Ritson, 1980). '팽이가 되어요'는 극적 상상력을 자극하므로 2번이 정답이다. 1번은 리듬, 3번은 신체인식, 4번은 통합적 프로젝트에 해당한다.
16. 다문화 동작활동 <스코틀랜드'즈 버닝>에 Ritson의 동작교수법을 적용할 경우, 문화주제의 5단계 교수ㆍ학습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지시따르기 → 흉내내기 → 극화하기 → 즉흥적 극화하기 → 구성하기
흉내내기 → 지시따르기 → 극화하기 → 즉흥적 극화하기 → 구성하기
흉내내기 → 지시따르기 → 구성하기 → 극화하기 → 즉흥적 극화하기
지시따르기 → 흉내내기 → 구성하기 → 즉흥적 극화하기 → 극화하기
모름
해설: Ritson(1980)의 5단계 교수법은 지시따르기, 흉내내기, 극화하기, 즉흥적 극화하기, 구성하기 순으로 진행된다. 1번이 정확한 순서를 반영하여 정답이다.
17. <운동공원>이라는 프로젝트 주제를 가지고 Katz와 Chard가 제안한 동작교수법을 적용할 경우, 프로젝트 통합교수법의 특성이 아닌 것은?
융통성 있는 진행
깊이 있는 탐구활동
생활과 분리된 경험의 강조
다양한 표상활동과 유아들의 활발한 상호작용
모름
해설: Katz와 Chard(1993)의 프로젝트 통합교수법은 생활과 밀접한 경험을 강조한다. 3번은 생활과 분리된 경험을 언급하므로 부적합하여 정답이다. 1번, 2번, 4번은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징이다.
18. 유아동작교육의 운영원리로 적합한 것이 아닌 것은?
생활중심의 프로그램
단계적 진행
단일집단 구성
연계, 반복교육
모름
해설: 유아동작교육은 다양한 집단 구성을 통해 협력과 상호작용을 장려한다(NAEYC, 2009). 단일집단 구성(3번)은 이를 제한하므로 부적합하여 정답이다. 1번, 2번, 4번은 운영원리에 해당한다.
19. 유아동작교육의 평가도구 중 체력검사는 '서술적 접근방법'에 해당된다. 유아의 기초체력검사 하위영역과 평가내용이 바로 연결된 것은?
평형성 - 평균대 위에서 외발서기
민첩성 - 제자리 멀리 뛰기
순발력 - 앉아서 몸 앞으로 굽히기
근력 및 근지구력 - 모둠발 뛰어넘기
모름
해설: 평형성은 균형 유지 능력을 평가하며, 평균대 위 외발서기는 이에 적합하다(Pangrazi, 2007). 1번이 정답이다. 2번은 순발력, 3번은 유연성, 4번은 민첩성과 관련이 있다.
20. 동작활동 <풍선놀이>에서 북소리에 맞춰 걷거나 달려보면서 속도를 달리하여 움직이면서 떨어지는 풍선을 연속하여 쳐서 올릴 때 발달하는 지각운동은?
공간지각
방향지각
시간지각
신체지각
모름
해설: 시간지각은 움직임의 속도와 타이밍을 조절하는 능력으로, 풍선놀이에서 북소리에 맞춰 속도를 조절하며 풍선을 치는 활동이 이에 해당한다(Gallahue, 2006). 3번이 정답이다.
21. 유아기에 가장 늦게 발달하며, 같은 발로 한 발 뛰기(hopping) 하면서 잇따라 걷기(walking) 스텝을 하는 '이동동작'은?
말뛰기 (galloping)
피하기 (dodging)
뛰어넘기 (leaping)
두 발 번갈아 뛰기 (skipping)
모름
해설: 두 발 번갈아 뛰기(skipping)는 유아기 후반에 발달하며, 한 발 뛰기와 걷기를 조합한 복잡한 이동동작이다(Gallahue, 2006). 4번이 정답이다. 1번, 3번은 더 단순하며, 2번은 민첩성 관련이다.
22. 동작활동 <흔들흔들>에서 제자리에 서서 손수건이나 스카프를 이용한 '흔들기'가 속하는 기본동작 유형은?
조작동작
안정동작
이동동작
전위동작
모름
< Gerais: **해설:** 안정동작은 제자리에서 균형을 유지하며 이루어지는 동작으로, 손수건을 흔드는 활동이 이에 해당한다(Gallahue, 2006). 2번이 정답이다. 1번은 물 Kiddie manipulatief, 3번은 이동, 4번은 비표준 용어다.
23. 동작활동 <올챙이와 개구리>와 같이 노랫말이 있는 노래의 음악리듬에 맞추어 교사의 움직임, 물체나 사물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하는 리듬동작활동은?
창작율동
모방율동
창의적 리듬체조
창의적 신체표현
모름
해설: 모방율동은 교사의 동작을 따라하는 리듬 활동으로, <올챙이와 개구리>와 같은 노래 기반 활동에 적합하다(Orff, 1963). 2번이 정답이다. 1번, 3번, 4번은 창의적 표현을 요구한다.
24. 다문화 동작활동 <오 타히티 라히>는 음악에 맞춰 막대를 이용한 타히티 전통무용이다. 이 무용은 어떤 동작영역을 통합한 것인가?
리듬동작 + 표현동작
기본동작 + 리듬동작
지각운동 + 기본동작
지각운동 + 리듬동작
모름
해설: 타히티 전통무용은 음악에 맞춘 리듬동작과 문화적 표현을 포함하는 표현동작을 통합한다(Laban, 1948). 1번이 정답이다. 2번, 3번, 4번은 표현적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25. 다문화그림책 [거미 아난시]를 듣고 등장인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역할을 나눈 다음, 머리띠 ·목걸이 등의 소품과 배경을 만들어 무대를 꾸미고, 효과음악에 맞춰 등장인물의 움직임을 동극으로 표현하였다. 동극 <거미 아난시>가 속하는 동작영역은?
지각운동
기본동작
표현동작
리듬동작
모름
해설: 동극은 이야기와 역할을 통해 감정과 상상력을 표현하는 표현동작에 속한다(Laban, 1948). 3번이 정답이다. 1번은 인지적 운동, 2번은 신체적 동작, 4번은 리듬 기반 활동이다.
26. Gallahue 개념적 동작교수법에 의하면, 공간에서 신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움직이는 기본동작유형에 속하는 것은?
조작동작
이동동작
결합동작
안정동작
모름
해설: 이동동작은 공간에서 신체 위치를 변화시키는 동작(예: 걷기, 뛰기)으로 정의된다(Gallahue, 2006). 2번이 정답이다. 1번은 물체 조작, 4번은 제자리 동작, 3번은 비표준 용어다.
27. 유아의 조작동작능력 중 출현시기가 가장 늦게 나타나서 발달하는 것은?
공받기
공 때리기
공차기
공 던지기
모름
해설: 공 때리기는 손-눈 협응과 정확한 타이밍을 요구하며, 조작동작 중 가장 늦게 발달한다(Gallahue, 2006). 2번이 정답이다. 1번, 3번, 4번은 비교적 일찍 발달한다.
28. 리본막대를 활용하여 <꿀벌의 여행>을 창작율동으로 만들 때, '분절된 총 동작반응의 수'로 정의되는 동작의 창의성 요소는?
동작의 유창성
동작의 융통성
동작의 독창성
동작의 정교성
모름
해설: 동작의 유창성은 다양한 동작반응의 수를 의미하며, 창작율동에서 리본막대를 활용한 동작의 수와 관련된다(Torrance, 1966). 1번이 정답이다. 2번은 다양성, 3번은 독특성, 4번은 정확성을 의미한다.
29. 다음이 설명하는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이론은?
유아가 동작을 경험하는 동안 교사는 환경을 구성하면서 각 유아의 지각과 반응 형태를 발견한다.
성숙주의 교수ㆍ학습이론
행동주의 교수ㆍ학습이론
구성주의 교수ㆍ학습이론
문화맥락주의 교수ㆍ학습이론
모름
해설: 구성주의는 유아의 능동적 경험과 교사의 환경 구성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본다(Piaget, 1952). 3번이 정답이다. 1번은 생물학적 성숙, 2번은 자극-반응, 4번은 문화적 맥락을 강조한다.
30. 굿거리장단의 <꽃이 될래요>에 맞춰 한삼춤을 추기 위하여 한국무용의 기본춤사위를 그림카드와 함께 손동작, 발동작을 배웠다. 발동작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기둥돌기
귀 옆 여미기(감기)
평걸음 걷기
늦춘걸음 걷기
모름
해설: 귀 옆 여미기(감기)는 손동작으로, 한국무용에서 발동작이 아니다(Lee, 2005). 2번이 정답이다. 1번, 3번, 4번은 모두 발동작에 해당한다.
31. Emerson과 Leigh의 무용교육 동작교수법에서 교수학습과정 4단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상상 → 표현 → 확장 → 창작
표현 → 상상 → 창작 → 확장
표현 → 확장 → 상상 → 창작
상상 → 확장 → 표현 → 창작
모름
해설: Emerson과 Leigh(1984)의 무용교육은 표현, 확장, 상상, 창작의 4단계로 진행된다. 3번이 정확한 순서를 반영하여 정답이다.
32. Gilliom이 제시한 동작주제 중에서 '신체관계-사람 간 관계'에 대한 교사의 발문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거울 되기 - 그림자 되기
만나기 - 헤어지기
가까이 하기 - 멀리 하기
박자 맞추기 - 리듬패턴 알기
모름
해설: Gilliom(1970)의 신체관계-사람 간 관계는 상호작용(거울 되기, 만나기 등)을 강조한다. 박자 맞추기는 리듬 학습으로, 이에 부합하지 않아 4번이 정답이다.
33. 방향지각은 유아기에 가장 늦게 발달하는 '지각운동능력'이다. 이 능력을 가장 잘 향상시킬 수 있는 동작활동은?
<후프 안으로, 밖으로 쏘옥!>
<시냇물을 건너자>
<모양 만들기>
<거미줄 지나가기>
모름
해설: 방향지각은 공간 내 방향을 인식하는 능력으로, <후프 안으로, 밖으로 쏘옥!>은 방향 전환을 연습하며 이를 향상시킨다(Gallahue, 2006). 1번이 정답이다. 다른 활동은 공간지각이나 협응에 더 초점을 맞춘다.
34. <꼬마생쥐>와 같이 유아의 손가락과 손을 이용한 구조적 리듬 동작활동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유아의 주의집중을 유발하기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동작은?
공체조
리듬놀이
극화놀이
후프체조
모름
해설: 리듬놀이는 손가락과 손을 활용한 구조적 동작으로, 주의집중을 유도하며 좁은 공간에 적합하다(Orff, 1963). 2번이 정답이다. 1번, 4번은 대근육 활동, 3번은 극적 표현에 해당한다.
35. 통합적 동작활동 <둥개야>는 노랫말 장단에 맞추어 몸풀기 체조로 활용된다. 어떤 동작활동의 영역을 통합한 것인가?
리듬동작 + 표현동작
기본동작 + 리듬동작
지각운동 + 기본동작
지각운동 + 리듬동작
모름
해설: <둥개야>는 노랫말에 맞춘 리듬동작과 걷기, 스트레칭 등의 기본동작을 통합한 몸풀기 활동이다(Gallahue, 2006). 2번이 정답이다. 1번은 표현적 요소, 3번과 4번은 지각운동을 포함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