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방통대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 기출문제 해설
- 상담심리학
-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상담심리학 기출문제
- 기출
- 방통대 유아교육과
- 방송통신대학교 기출문제
- 상담심리학 모의고사
- 소담정
- 학우
- 놀이지도
- 유아교육과 기말고사
- 방송통신대학교
- 방통대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정독도서관
- 방통대 기말고사
- 구내식당
- 해설
- 학생
- 기말고사
- 영유아발달
- 유아교육
- 문제
- 시험
- 유아교육과
-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Archives
- Today
- Total
호혜 블로그
레고 맞춰요! 한글 블록의 비밀 발견하기 ㅡ 왜 '값'은 '갑'이라고 쓰면 안 될까요 본문
728x90
📖 맞춤법 1항: 소리는 변해도 모양은 지켜요!
말할 때는 발음이 변하지만, 쓸 때는 원래 단어의 모양을 그대로 적어요!
예시 1 - "넋" (영혼)
▶ 발음: "넉"
▶ 올바른 표기: 넋이 사라졌다 (⭕)
▶ 틀린 표기: 넉이 사라졌다 (❌)
▶ 발음: "넉"
▶ 올바른 표기: 넋이 사라졌다 (⭕)
▶ 틀린 표기: 넉이 사라졌다 (❌)
예시 2 - "앉다" (자세를 취하다)
▶ 발음: "안따"
▶ 올바른 표기: 의자에 앉다 (⭕)
▶ 틀린 표기: 안따 (❌)
▶ 발음: "안따"
▶ 올바른 표기: 의자에 앉다 (⭕)
▶ 틀린 표기: 안따 (❌)
예시 3 - "없다" (소유하지 않다)
▶ 발음: "업따"
▶ 올바른 표기: 돈이 없다 (⭕)
▶ 틀린 표기: 업다 (❌)
▶ 발음: "업따"
▶ 올바른 표기: 돈이 없다 (⭕)
▶ 틀린 표기: 업다 (❌)
💡 요약하면?
"레고 조각이 떨어져도 이름은 그대로!"
발음은 변할지라도 단어의 본래 모양을 기억해주세요 ✏️
728x90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헷갈리면 SOS! ㅡ -거든 vs -거던, -않 vs -안, -이 vs -히, 몇 vs 멧, 잖아 vs 잔아 (0) | 2025.03.02 |
---|---|
맞춤법 헷갈리면 SOS! ㅡ -던 vs -든, -께서 vs -에서, 되 vs 돼, 웬 vs 왠, 곳 vs 곧 (0) | 2025.03.02 |
맞춤법 헷갈리면 SOS! ㅡ 바라다 vs 바래다, -데 vs 대, 만듦 vs 만듬, 안 vs 않, 에서 vs 에 (0) | 2025.03.02 |
외래어는 이렇게 적어요! 한글 규칙 5가지 (0) | 2025.03.02 |
띄어쓰기는 왜 필요할까? 단어들의 개인공간 대작전! ㅡ '할수있다'가 틀린 이유는 바로 이것!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