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유아교육과 기말고사
- 상담심리학 모의고사
- 방통대 기출문제
- 방통대 유아교육과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학우
- 방송통신대학교 기출문제
- 영유아발달
- 정독도서관
- 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 구내식당
- 기출
- 유아교육과
- 소담정
- 학생
- 방통대 기말고사
- 기말고사
- 방통대
-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문제
- 상담심리학
- 상담심리학 기출문제
- 시험
- 유아교육
- 놀이지도
- 기출문제 해설
- 해설
-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 Today
- Total
호혜 블로그
세계의역사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6년 1학년 1학기) 본문
세계의역사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6년 1학기)
문제의 보기를 클릭하여 정답을 선택하세요!
2016 학년도 1학기 1학년 35문항
과목: 세계의역사
시험 종류: 기말시험
출제 위원: 방송대 이혜령
출제 범위: 교재 1~8장, 10장, 11장 및 해당부분 매체강의
자료 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 제작: 유종경
문제 1
다음 중 중국 상(商)나라와 관련하여 가장 적합한 항목은?
① 갑골문 |
② 군현제 |
③ 제정분리 |
④ 전설 속의 왕조 |
해설: 중국 상(商)나라는 기원전 17세기경부터 기원전 11세기까지 황하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청동기 시대의 왕조로, 역사적으로 실존이 입증된 최초의 중국 왕조 중 하나입니다. 상나라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갑골문**으로, 거북이 등딱지나 소의 뼈에 새겨진 문자입니다. 이는 주로 점술 기록으로 사용되었으며, 중국 문자 발달의 초기 단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갑골문을 통해 상나라의 정치, 종교, 경제적 활동을 엿볼 수 있으며, 이는 상나라가 단순한 전설 속 왕조가 아니라 실질적인 역사적 존재임을 증명합니다.
- **② 군현제**: 이는 진(秦)나라에서 시작된 중앙집권적 행정 제도로, 상나라 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③ 제정분리**: 정치와 종교의 분리를 의미하나, 상나라는 제정일치 사회로 왕이 종교적 권위도 겸했습니다.
- **④ 전설 속의 왕조**: 하(夏)나라는 전설로 여겨지지만, 상나라는 갑골문과 유적을 통해 실존이 확인됩니다.
따라서 상나라와 가장 관련 깊은 것은 **① 갑골문**입니다.
문제 2
중국 전국시대의 정치적 상황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① 천하가 통일되어 있었다. |
② 주(周) 왕실이 확실한 주도권을 보유했다. |
③ 전국칠웅이 강대국으로 부상했다. |
④ 혼란 속에서 개혁정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
해설: 전국시대(기원전 475년~기원전 221년)는 중국 역사에서 춘추시대 이후 주(周) 왕실의 권위가 약화되고, 여러 제후국들이 서로 패권을 다투던 혼란의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특징은 **전국칠웅**(제, 초, 연, 한, 위, 조, 진)이 강대국으로 부상하여 치열한 전쟁과 외교를 벌인 점입니다. 이들은 각자 영토를 확장하고 군사 및 정치적 개혁을 통해 국력을 강화하려 했습니다.
- **① 천하가 통일되어 있었다**: 천하 통일은 진시황이 전국시대를 끝내며 이루어진 이후의 일입니다.
- **② 주 왕실이 확실한 주도권을 보유했다**: 주 왕실은 이미 형식적인 존재로 전락해 실질적 권력을 잃었습니다.
- **④ 혼란 속에서 개혁정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오히려 상앙의 변법(진) 등 각국에서 개혁이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따라서 전국시대의 정치적 상황을 가장 잘 나타내는 것은 **③ 전국칠웅이 강대국으로 부상했다**입니다.
문제 3
다음 중 중국의 왕조들이 가장 오랫 동안 통치이념으로 선택했던 사상은?
① 도가 (道家) |
② 묵가 (墨家) |
③ 유가 (儒家) |
④ 농가 (農家) |
해설: 중국의 왕조들은 한(漢)나라 이래로 **유가(儒家)**를 통치이념으로 채택하여 약 2천 년간 지속적으로 유지했습니다. 유가는 공자와 맹자의 가르침을 기반으로, **예(禮)**와 **인(仁)**을 중시하며 사회 질서와 도덕적 통치를 강조합니다. 한 무제(武帝) 시기 동중서의 "유가 독존" 정책을 통해 공식 이념으로 자리잡았고, 이후 수(隋), 당(唐), 송(宋), 명(明), 청(淸)에 이르기까지 국가 운영의 철학적 기초로 기능했습니다.
- **① 도가**: 노자와 장자의 철학으로, 무위자연을 강조하며 통치보다는 개인적 수양에 중점을 둡니다.
- **② 묵가**: 묵자의 겸애와 비공 사상은 전국시대에 잠시 영향을 미쳤으나 장기적 통치이념이 되지 못했습니다.
- **④ 농가**: 농업을 중시한 사상이지만, 실질적인 통치 철학으로 채택된 적은 없습니다.
따라서 중국 왕조의 주요 통치이념은 **③ 유가**입니다.
문제 4
다음 중 한 무제(武帝)와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은?
① 흉노 |
② 실크로드 |
③ 봉건제도 |
④ 중앙집권체제 |
해설: 한 무제(武帝, 재위 기원전 141년~기원전 87년)는 한나라의 전성기를 이끈 황제로, 대외 확장과 중앙집권 강화로 유명합니다.
- **① 흉노**: 무제는 흉노와의 전쟁을 통해 북방을 안정시키고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장건을 파견해 흉노와의 군사적 대치를 지원했습니다.
- **② 실크로드**: 장건의 서역 탐사로 실크로드가 개척되어 서양과의 교류가 시작되었습니다.
- **④ 중앙집권체제**: 무제는 유가 정책을 채택하고, 지방 호족의 세력을 억제하며 중앙집권을 강화했습니다.
- **③ 봉건제도**: 이는 주(周)나라에서 시행된 분봉제로, 한나라에서는 진(秦)의 군현제를 계승해 봉건제를 약화시키고 중앙집권을 추구했습니다.
따라서 한 무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③ 봉건제도**입니다.
문제 5
다음 중 오호시대 유목 정권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기에 걸쳐 지속된 국가는?
① 서위 |
② 북제 |
③ 양 |
④ 북위 |
해설: 오호시대(304년~439년)는 중국 남북조시대의 전반부로, 북방에서 유목민족이 세운 여러 정권이 단명하며 혼란을 겪은 시기입니다. 이 중 **북위(北魏)**는 선비족(鮮卑族)이 세운 국가로, 386년부터 534년까지 약 150년간 존속하며 비교적 장기적인 통치를 유지했습니다.
북위는 초기 유목민족의 전통을 유지했으나, 효문제(孝文帝) 시기 중국화 정책을 추진하여 한족의 문화를 수용하고, 율령 체제를 도입하며 정치적 안정성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다른 유목 정권들이 단명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 **① 서위**: 북위가 분열된 후 단명한 국가(535~557년).
- **② 북제**: 역시 북위 분열 후 단명(550~577년).
- **③ 양**: 남조의 국가로, 유목 정권이 아님.
따라서 오호시대 유목 정권 중 장기 지속된 국가는 **④ 북위**입니다.
문제 6
다음 중 중국의 당(唐) 시대의 정치 및 문화와 관련하여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쇄국주의 |
② 상업의 쇠퇴 |
③ 종교 탄압 |
④ 율령 |
해설: 당(唐)나라는 618년부터 907년까지 중국을 통치한 왕조로, 정치적 안정과 문화적 번영을 이룩한 시기입니다. 당나라는 수(隋)나라의 율령 체제를 계승하여 법치주의를 확립하고, 중앙집권적 통치를 강화했습니다. **율령**은 법률과 행정규정을 체계화한 것으로, 당나라의 정치적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 **① 쇄국주의**: 당나라는 오히려 개방 정책을 통해 국제 교류를 활발히 했습니다.
- **② 상업의 쇠퇴**: 당나라는 실크로드를 통한 교역이 번성하여 상업이 발달했습니다.
- **③ 종교 탄압**: 당나라는 불교, 도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를 포용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따라서 당나라와 가장 관련 깊은 것은 **④ 율령**입니다.
문제 7
다음 중 중국 명대에 일어난 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몽골의 풍습 지속 |
② 이자성의 반란 |
③ 유학에 대한 탄압 |
④ 황제 권력 축소 정책 |
해설: 명(明)나라는 1368년부터 1644년까지 중국을 통치한 왕조로, 몽골의 원(元)나라를 몰아내고 한족의 왕조를 재건했습니다. 명나라 말기에는 정치적 부패와 경제적 혼란으로 인해 민란이 빈발했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이자성의 반란**입니다. 이자성은 1644년 명나라를 멸망시키고 북경을 점령했으나, 곧이어 청(淸)나라에 의해 패배했습니다.
- **① 몽골의 풍습 지속**: 명나라는 한족의 문화를 복원하려 했으며, 몽골의 영향은 축소되었습니다.
- **③ 유학에 대한 탄압**: 명나라는 유학을 중시하여 과거제를 통해 관료를 선발했습니다.
- **④ 황제 권력 축소 정책**: 명나라 황제들은 오히려 권력을 강화하려 했습니다.
따라서 명대에 일어난 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② 이자성의 반란**입니다.
문제 8
다음 중 제1차 중영전쟁(아편전쟁, 1840∼1842)의 결과 체결된 난징조약의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중국의 광둥 무역체제 포기 |
② 중화질서의 유지 |
③ 계약 당사자들 사이의 평등하고 대등한 계약 |
④ 중국의 쇄국체제 강화 |
해설: 제1차 중영전쟁(아편전쟁, 1840~1842)은 영국이 중국의 아편 금지 정책에 반발하여 일으킨 전쟁으로, 중국의 패배로 끝났습니다. 그 결과 체결된 난징조약(1842년)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불평등 조약으로, 중국은 **광둥 무역체제**를 포기하고 홍콩을 영국에 할양하며, 5개 항구를 개방하는 등 영국에 유리한 조건을 받아들였습니다.
- **② 중화질서의 유지**: 난징조약은 오히려 중화질서를 무너뜨리고 서구 열강의 침략을 가속화했습니다.
- **③ 계약 당사자들 사이의 평등하고 대등한 계약**: 난징조약은 불평등 조약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 **④ 중국의 쇄국체제 강화**: 오히려 개항을 강요받아 쇄국체제가 약화되었습니다.
따라서 난징조약의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중국의 광둥 무역체제 포기**입니다.
문제 9
다음 중 중국의 양무운동을 종식시킨 전쟁은?
① 청일전쟁 |
② 러일전쟁 |
③ 만주사변 |
④ 제 1차 세계대전 |
해설: 양무운동(洋務運動)은 19세기 후반 청나라에서 진행된 자강운동으로, 서양의 기술을 도입하여 군사 및 산업을 현대화하려는 시도였습니다. 그러나 1894~1895년 **청일전쟁**에서 일본에 패배하면서 양무운동의 한계가 드러났고, 이 운동은 사실상 종식되었습니다. 청일전쟁의 패배는 중국의 군사적, 기술적 열세를 여실히 보여주었으며, 이후 중국은 보다 근본적인 개혁을 모색하게 됩니다.
- **② 러일전쟁**: 1904~1905년, 일본과 러시아 간의 전쟁으로 중국과 직접 관련이 적습니다.
- **③ 만주사변**: 1931년, 일본의 만주 침략으로 양무운동과 시기적으로 무관합니다.
- **④ 제1차 세계대전**: 1914~1918년, 양무운동 이후의 사건입니다.
따라서 양무운동을 종식시킨 전쟁은 **① 청일전쟁**입니다.
문제 10
다음 중 강유위(康有爲, 캉유웨이) 등의 무술개혁을 정변으로 좌절시킨 사람은?
① 서태후 |
② 쑨원(손문) |
③ 위안스카이(원세개) |
④ 리홍장 |
해설: 무술개혁(戊戌改革, 1898년)은 강유위(康有爲)와 양계초(梁啓超) 등이 주도한 개혁운동으로, 청나라의 정치, 교육, 군사 제도를 서구식으로 개혁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이 개혁은 보수파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서태후(慈禧太后)**가 이끄는 보수 세력이 정변을 일으켜 개혁을 저지했습니다. 서태후는 광서제(光緒帝)를 유폐시키고 개혁파를 숙청하여 무술개혁은 100일 만에 실패로 끝났습니다.
- **② 쑨원**: 혁명가로, 무술개혁과는 무관합니다.
- **③ 위안스카이**: 당시 군벌로, 개혁에 협조적이었다가 후에 배신했습니다.
- **④ 리홍장**: 양무운동의 주도자였으나, 무술개혁에는 직접 관여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무술개혁을 좌절시킨 사람은 **① 서태후**입니다.
문제 11
다음 중 중국 5ㆍ4운동의 계기가 되었던 조약은?
① 시모노세키조약 |
② 베르사유조약 |
③ 베이징조약 |
④ 사이공조약 |
해설: 5ㆍ4운동(1919년)은 제1차 세계대전 후 파리 강화회의에서 체결된 **베르사유조약**의 내용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중국의 민족주의 운동입니다. 베르사유조약은 독일이 중국 산둥(山東) 반도에서 가졌던 권리를 일본에 양도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는 중국 국민의 분노를 불러일으켰습니다. 1919년 5월 4일, 베이징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시작된 이 운동은 반제국주의와 반봉건주의를 주장하며 중국 현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 **① 시모노세키조약**: 1895년 청일전쟁 후 체결된 조약으로, 대만 할양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 **③ 베이징조약**: 1860년 제2차 아편전쟁 후 체결된 조약입니다.
- **④ 사이공조약**: 베트남과 프랑스 간의 조약으로, 중국과 무관합니다.
따라서 5ㆍ4운동의 계기가 된 조약은 **② 베르사유조약**입니다.
문제 12
20세기 중국인의 생활양식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대가족제의 강화 |
② 전족 폐지 |
③ 여성 지위의 하락 |
④ 유교 이념의 강화 |
해설: 20세기 초 중국은 근대화와 혁명의 물결 속에서 전통적인 생활양식이 크게 변화했습니다. 그중 하나가 **전족(纏足)**의 폐지입니다. 전족은 여성의 발을 작게 만들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발을 묶는 관습으로,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제한하는 상징이었습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국민정부는 전족을 금지하는 법을 제정하고,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는 중국 사회의 근대화와 여성 해방 운동의 일환이었습니다.
- **① 대가족제의 강화**: 오히려 핵가족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 **③ 여성 지위의 하락**: 20세기에는 여성의 사회 참여가 증가하며 지위가 향상되었습니다.
- **④ 유교 이념의 강화**: 오히려 유교는 비판받고, 새로운 사상이 도입되었습니다.
따라서 20세기 중국인의 생활양식 변화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② 전족 폐지**입니다.
문제 13
개혁ㆍ개방 정책으로 경제발전이 신속해지는 한편, 빈부격차, 경제 부정, 물가상승, 실업과 배금주의 등 사회문제가 대두하는 분위기에서 중국 국민들이 제5의 현대화로 정치민주화를 요구했던 사건은?
① 천안문사건 |
② 문화대혁명 |
③ 대약진운동 |
④ 국공합작 |
해설: 1980년대 중국은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ㆍ개방 정책으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빈부격차, 부패, 인플레이션 등의 사회문제가 심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1989년 베이징의 천안문 광장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정치 개혁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를 벌였습니다. 이 사건은 **천안문사건**으로, 중국 정부의 강경 진압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며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습니다. 천안문사건은 중국 현대사에서 민주화 운동의 상징입니다.
- **② 문화대혁명**: 1966~1976년, 마오쩌둥이 주도한 정치 운동입니다.
- **③ 대약진운동**: 1958~1961년, 경제 발전을 목표로 했으나 실패했습니다.
- **④ 국공합작**: 1920년대와 1940년대, 국민당과 공산당의 협력입니다.
따라서 정치민주화를 요구한 사건은 **① 천안문사건**입니다.
문제 14
다음 중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 개방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인물은?
① 마오쩌둥 (모택동) |
② 강청 (쟝칭) |
③ 장춘차오 (장춘교) |
④ 등소평 (덩샤오핑) |
해설: 중화인민공화국의 개혁과 개방 정책은 **덩샤오핑(鄧小平)**이 주도한 것으로, 1978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습니다.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실권자로 부상하여, 경제 자유화와 시장 경제 도입을 통해 중국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그의 "흑묘백묘론(黑猫白猫论)"—"쥐를 잘 잡으면 고양이의 색깔은 중요하지 않다"는 실용주의적 접근은 중국의 경제 개혁을 상징합니다.
- **① 마오쩌둥**: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주도했고, 개방과는 무관합니다.
- **② 강청**: 마오쩌둥의 부인으로, 문화대혁명의 주역이었습니다.
- **③ 장춘차오**: "4인방"의 일원으로, 보수파였습니다.
따라서 개혁과 개방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인물은 **④ 등소평**입니다.
문제 15
일본의 야요이인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합당한 항목은?
① 신석기시대 |
② 수렵, 채집, 어업생활 |
③ 한반도, 중국 남부에서 도래 |
④ 계급 없는 사회 구성 |
해설: 야요이 시대(기원전 300년경~기원후 300년경)는 일본 열도에서 청동기와 철기 문화를 도입한 시기로, 이 시기의 사람들은 **한반도와 중국 남부에서 도래**한 이주민들로 추정됩니다. 이들은 벼농사와 금속기 사용 기술을 가지고 일본으로 이주하여, 기존의 조몬인과 융합하거나 대체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 **① 신석기시대**: 조몬 시대가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며, 야요이 시대는 청동기와 철기를 포함합니다.
- **② 수렵, 채집, 어업생활**: 조몬 시대의 특징으로, 야요이 시대에는 농경이 도입되었습니다.
- **④ 계급 없는 사회 구성**: 야요이 시대 후기에는 계층화가 진행되었습니다.
따라서 야요이인에 대한 가장 합당한 설명은 **③ 한반도, 중국 남부에서 도래**입니다.
문제 16
일본이 두 차례에 걸친 몽고의 침략을 경험한 시기는?
① 무로마치 막부 시대 |
② 가마쿠라 막부 시대 |
③ 남북조시대 |
④ 센코쿠(전국)시대 |
해설: 몽고의 침략은 1274년과 1281년 두 차례에 걸쳐 일어났으며, 이 시기는 일본의 **가마쿠라 막부 시대**(1185~1333년)에 해당합니다. 몽고의 침략은 일본 역사에서 "원구(元寇)"로 알려져 있으며, 가마쿠라 막부 아래에서 격퇴했습니다. 특히 1281년에는 "가미카제(神風)"라 불리는 태풍이 몽고 함대를 파괴했습니다.
- **① 무로마치 막부 시대**: 1336~1573년, 몽고 침략 이후입니다.
- **③ 남북조시대**: 1336~1392년, 몽고 침략 이후입니다.
- **④ 센코쿠(전국)시대**: 1467~1603년, 더 늦은 시기입니다.
따라서 몽고의 침략을 경험한 시기는 **② 가마쿠라 막부 시대**입니다.
문제 17
다음 중 17세기 말 일본의 상황으로 가장 적합한 설명은?
① 도쿠가와(에도) 막부의 통치 |
② 도시문화의 침체 |
③ 서양국가들과의 자유로운 교류 |
④ 전면적인 전쟁상태 |
해설: 17세기 말 일본은 **도쿠가와(徳川) 막부**, 즉 에도 막부(1603~1868년)의 통치 아래에 있었습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가 1603년 세운 이 막부는 약 260년간 통치하며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이룩했습니다. 이 시기 일본은 "사카무리(鎖国)" 정책으로 외국과의 교류를 제한했으며, 내부적으로 평화로운 시기를 유지했습니다.
- **② 도시문화의 침체**: 에도 시대에는 우키요에(浮世絵) 등 도시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 **③ 서양국가들과의 자유로운 교류**: 사카무리 정책으로 교류가 제한되었습니다.
- **④ 전면적인 전쟁상태**: 도쿠가와 막부는 내부 평화를 유지했습니다.
따라서 17세기 말 일본의 상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도쿠가와(에도) 막부의 통치**입니다.
문제 18
다음 중 메이지정부와 가장 무관한 사항은?
① 근대 천황제국가 |
② 제국주의 추구 |
③ 한국의 식민지화 |
④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지향 |
해설: 메이지정부(1868~1912년)는 일본의 근대화를 추진한 정부로, 천황을 중심으로 한 근대 국가를 건설하고, 산업화와 군사 강화를 통해 제국주의 정책을 추구했습니다. 또한, 1910년 한국을 식민지로 병합했습니다. 그러나 메이지정부는 자유주의나 사회주의를 지향하지 않고, 중앙집권적이고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유지했습니다.
- **① 근대 천황제국가**: 메이지 헌법(1889년)으로 천황 중심의 입헌군주제를 확립했습니다.
- **② 제국주의 추구**: 청일전쟁, 러일전쟁으로 영토를 확장했습니다.
- **③ 한국의 식민지화**: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한국을 식민지로 삼았습니다.
- **④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지향**: 자유민권운동을 탄압하고, 사회주의를 억제했습니다.
따라서 메이지정부와 가장 무관한 것은 **④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지향**입니다.
문제 19
고전 고대의 그리스인들이 후대의 유럽인들에게 전승한 유산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민주정 |
② 황제독재권 |
③ 기독교 |
④ 빈부격차의 해소 |
해설: 고대 그리스는 서양 문명의 기초를 마련한 문명으로, 특히 아테네에서 발달한 **민주정**은 후대 유럽의 정치 제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리스의 민주정은 시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직접 민주주의의 형태였으며, 현대 민주주의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또한, 철학,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그리스의 성취가 전승되었습니다.
- **② 황제독재권**: 로마 제정 시대의 특징으로, 그리스와 무관합니다.
- **③ 기독교**: 로마 제국 시기에 발생한 종교로, 그리스 고전기와 관련이 없습니다.
- **④ 빈부격차의 해소**: 고대 그리스 사회는 계급제가 존재하며 빈부격차가 심했습니다.
따라서 그리스인들이 전승한 유산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민주정**입니다.
문제 20
페르시아 전쟁 이후 대(對) 페르시아 동맹인 델로스 동맹을 주도했던 폴리스는?
① 스파르타 |
② 테베 |
③ 코린트 |
④ 아테네 |
해설: 페르시아 전쟁(기원전 492~449년) 이후, 그리스 폴리스들은 페르시아의 재침을 막기 위해 **델로스 동맹**을 결성했습니다. 이 동맹은 **아테네**가 주도했으며, 본부는 델로스 섬에 있었습니다. 아테네는 동맹의 군사력과 재정을 장악하며 점차 동맹을 제국으로 변질시켰고, 이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 **① 스파르타**: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주도하며 아테네와 대립했습니다.
- **② 테베**: 나중에 아테네와 스파르타를 위협했으나 델로스 동맹을 주도하지 않았습니다.
- **③ 코린트**: 상업 도시로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일원이었습니다.
따라서 델로스 동맹을 주도한 폴리스는 **④ 아테네**입니다.
문제 21
고대 로마의 공화정기에 정치적 실권을 장악했던 세력 혹은 집단은?
① 호민관 |
② 평민회 |
③ 원로원 |
④ 중소농민 |
해설: 고대 로마 공화정기(기원전 509년~기원전 27년)에는 **원로원(元老院)**이 정치적 실권을 장악했습니다. 원로원은 귀족들로 구성된 기관으로, 외교, 재정, 군사 등 국가의 주요 정책을 결정했습니다. 집정관이나 행정관들은 원로원의 자문을 받아야 했으며, 실질적인 통치 기관이었습니다.
- **① 호민관**: 평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직책으로 원로원을 견제했습니다.
- **② 평민회**: 법률을 제정할 수 있었으나 원로원의 영향력이 컸습니다.
- **④ 중소농민**: 병력원이자 경제 기반이었으나 정치적 실권은 귀족 중심이었습니다.
따라서 공화정기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집단은 **③ 원로원**입니다.
문제 22
케사르의 양자였던 옥타비아누스가 이집트를 정복하여 지중해세계를 통일하여 제정을 설립한 후 약 200년 동안 지속되었던 로마의 안정은 로마의 ( )라 불리운다.
① 평화 |
② 전성기 |
③ 복지 |
④ 풍요 |
해설: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는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를 물리치고 이집트를 정복한 후, 로마 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습니다. 그의 통치 이후 약 200년간 로마는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며, 이 시기는 **"팍스 로마나(Pax Romana)"**, 즉 "로마의 평화"로 불립니다. 대규모 전쟁이 거의 없었고, 로마법과 행정 체계가 정비되었습니다.
- **② 전성기**: 팍스 로마나를 포함하지만 더 넓은 의미입니다.
- **③ 복지**: 곡물 배급 등 복지가 있었으나 "평화"가 핵심입니다.
- **④ 풍요**: 경제적 번영도 있었지만 "평화"가 더 직접적입니다.
따라서 괄호에 들어갈 말은 **① 평화**입니다.
문제 23
800년 샤를마뉴가 부활한 서로마제국의 문화 혹은 문명적 기반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게르만문화 |
② 이슬람문화 |
③ 로마문화 |
④ 기독교신앙 |
해설: 800년,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는 로마 교황에 의해 서로마제국의 황제로 즉위했습니다. 그가 부활시키려 한 서로마제국은 **로마문화**와 **기독교신앙**을 기반으로 했으며, 프랑크 왕국은 게르만족이 세운 국가로 **게르만문화**의 영향도 강했습니다. 반면, **이슬람문화**는 당시 유럽과 대립하는 문명으로 샤를마뉴의 제국과 거리가 멀었습니다.
- **① 게르만문화**: 프랑크 왕국의 문화적 특성입니다.
- **③ 로마문화**: 로마의 법과 행정을 모방했습니다.
- **④ 기독교신앙**: 제국 통합의 중요한 요소였습니다.
- **② 이슬람문화**: 이베리아 반도와 중동에 있었으며 적대적이었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② 이슬람문화**입니다.
문제 24
다음 중 서양 중세 봉건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① 국왕의 중앙집권적 통치가 이루어졌다. |
② 세속권력과 교회권력이 함께 존재했다. |
③ 대서양이 경제 활동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
④ 농민들은 토지에 대한 소유권을 확보하고 있었다. |
해설: 중세 유럽의 봉건사회(9세기~15세기)는 국왕의 권력이 약화되고, 영주와 기사들이 지역을 지배하는 분권적 구조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세속권력**(영주, 기사)과 **교회권력**(교황, 주교)이 함께 존재하며 경쟁과 협력을 반복했습니다. 교회는 영적인 권위와 세속적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 **① 국왕의 중앙집권적 통치**: 중세 초기에는 국왕의 권력이 약했습니다.
- **③ 대서양이 경제 활동의 중심**: 지중해와 한자 동맹이 중심이었으며, 대서양은 근대 이후에 중요해졌습니다.
- **④ 농민들의 토지 소유권**: 농민은 농노로, 토지 사용권만 가졌습니다.
따라서 가장 합당한 설명은 **② 세속권력과 교회권력이 함께 존재했다**입니다.
문제 25
( ) 전쟁은 중세 유럽의 팽창 에너지가 종교적 열정과 이교도에 대한 성전이라는 형태로 합쳐진 사건이었다. 그 발단은 셀주크 튀르크의 예루살렘 점령으로, 위협에 직면한 동로마제국 황제가 교황 우르바누스 2세에게 구원을 요청하면서 1096년에 시작되었다. ( )은 일단 예루살렘을 탈환하는데 성공했으나, 200년에 걸친 일탈과 탐욕 끝에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① 시민군 |
② 혁명군 |
③ 토벌군 |
④ 십자군 |
해설: 이는 **십자군 전쟁**을 설명합니다. 십자군 전쟁(1096~1291년)은 중세 유럽에서 기독교 성지 예루살렘을 이슬람 세력으로부터 탈환하기 위해 조직된 군사 원정입니다. 1095년 교황 우르바누스 2세가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원정을 선포하며 시작되었고, 동로마제국의 요청에 응한 것이기도 했습니다. 십자군은 처음 예루살렘을 탈환했으나, 여러 차례 원정 후 이슬람 세력에 의해 성지를 잃었습니다.
- **① 시민군**: 도시 자위대를 의미하며 무관합니다.
- **② 혁명군**: 현대적 개념입니다.
- **③ 토벌군**: 반란 진압을 위한 군대입니다.
따라서 괄호에 들어갈 말은 **④ 십자군**입니다.
문제 26
14세기 유럽에 창궐하여 수많은 희생자를 발생시킴으로써 공포의 대상이 되었던 전염병은?
① 폐렴 |
② 흑사병 (페스트) |
③ 한센병 |
④ 천연두 |
해설: 14세기 중반, 유럽은 **흑사병(페스트)**의 대유행으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1347년부터 1351년까지 인구의 약 1/3이 사망했으며, 사회경제적 혼란을 초래했습니다. 쥐의 벼룩을 통해 전파된 이 전염병은 당시 의학으로 대처가 어려웠고, 봉건제 쇠퇴를 가속화했습니다.
- **① 폐렴**: 흔한 질환이지만 대유행은 아님.
- **③ 한센병**: 중세에 만연했으나 흑사병만큼의 피해는 아님.
- **④ 천연두**: 역사적으로 사망자를 냈지만 14세기 대유행은 흑사병.
따라서 공포의 대상이었던 전염병은 **② 흑사병 (페스트)**입니다.
문제 27
15세기 말 포르투갈이 항해와 탐험 결과 도착한 지역은?
① 멕시코 |
② 희망봉 |
③ 오스트레일리아 |
④ 필리핀 |
해설: 15세기 말, 포르투갈의 바르톨로메우 디아스는 1488년에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유럽에서 인도로 가는 해상 루트를 개척하는 이정표가 되었고, 이후 바스코 다 가마가 1498년에 인도에 도착했습니다. 포르투갈은 향신료 무역을 장악하며 해상 강국으로 부상했습니다.
- **① 멕시코**: 스페인의 코르테스가 1519년에 정복.
- **③ 오스트레일리아**: 17세기 네덜란드에 의해 발견.
- **④ 필리핀**: 스페인의 마젤란이 1521년에 발견.
따라서 포르투갈이 도착한 지역은 **② 희망봉**입니다.
문제 28
17세기 중엽을 기준으로 해상진출에서 가장 큰 성과를 거두었던 국가는?
① 러시아 |
② 스웨덴 |
③ 영국 |
④ 이탈리아 |
해설: 17세기 중엽, **영국**은 해상 무역과 식민지 확장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1651년 항해조례로 네덜란드와의 무역 경쟁에서 우위를 점했고, 인도, 북미, 카리브 해에 식민지를 건설했습니다.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를 격파한 후 해상 패권을 장악하기 시작했고, 17세기에는 네덜란드를 제치고 세계 최대 해상 강국으로 부상했습니다.
- **① 러시아**: 시베리아 개척에 집중, 해상 진출은 제한적.
- **② 스웨덴**: 발트 해 지역 강국, 글로벌 해상 진출은 미미.
- **④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 무역이 발달했으나 17세기에는 쇠퇴.
따라서 가장 큰 성과를 거둔 국가는 **③ 영국**입니다.
문제 29
17세기 서유럽 절대주의 국가의 성격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① 국왕과 왕조의 이익을 위한 국가였다. |
② 근대적인 국민국가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
③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충분히 보장했다. |
④ 농민은 농노의 신분으로 남아있었다. |
해설: 17세기 서유럽 절대주의 국가는 국왕의 권력을 강화하여 중앙집권적 통치를 추구했습니다. 국가는 **국왕과 왕조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며, 국왕은 "신의 대리자"로서 절대적 권력을 행사했습니다. 프랑스의 루이 14세는 "짐이 곧 국가다"라며 절대주의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 **② 근대적인 국민국가**: 국민 참여보다는 국왕의 권력에 기반.
- **③ 자유로운 경제활동**: 중상주의로 국가가 경제를 통제.
- **④ 농노 신분**: 서유럽에서는 농노제가 해체되고 있었음.
따라서 가장 합당한 것은 **① 국왕과 왕조의 이익을 위한 국가였다**입니다.
문제 30
1789년 5월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가 소집했으나 곧 결렬되면서 프랑스혁명의 계기를 제공했던 것은?
① 공의회 |
② 명사회 |
③ 참사회 |
④ 삼부회 |
해설: 1789년 5월, 루이 16세는 재정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삼부회(Estates-General)**를 소집했습니다. 성직자(제1신분), 귀족(제2신분), 평민(제3신분)으로 구성된 이 회의는 1614년 이후 처음 열렸습니다. 제3신분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했으나 투표권이 적어 불만을 품었고, 삼부회를 이탈하여 국민의회를 선언하며 프랑스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 **① 공의회**: 교회 관련 회의.
- **② 명사회**: 역사적 용어가 아님.
- **③ 참사회**: 자문 기구를 의미.
따라서 혁명의 계기를 제공한 것은 **④ 삼부회**입니다.
문제 31
프랑스 혁명기의 제 분파 중 가장 우파에 속하는 집단은?
① 당통파 |
② 지롱드파 |
③ 로베스피에르파 |
④ 격앙파 및 에베르파 |
해설: 프랑스 혁명기에는 여러 정치 분파가 존재했습니다. **지롱드파**는 온건한 개혁을 추구하며 지방 귀족과 부르주아의 이익을 대변하는 집단으로, 상대적으로 우파에 속했습니다. 반면, **로베스피에르파**(자코뱅파)는 급진적 개혁과 공포정치를 주도했고, **격앙파**와 **에베르파**는 극좌적 입장이었습니다. **당통파**는 중도적 입장이었습니다.
- **① 당통파**: 중도파.
- **② 지롱드파**: 온건파로 우파.
- **③ 로베스피에르파**: 급진파로 좌파.
- **④ 격앙파 및 에베르파**: 극좌파.
따라서 가장 우파에 속하는 집단은 **② 지롱드파**입니다.
문제 32
다음 중 프랑스혁명기인 1795년에 수립된 총재정부와 관련하여 가장 적합한 설명은?
① 파리 상퀼로트와 공고한 연대를 이루고 있었다. |
② 최고가격제를 실시했다。 |
③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을 이루었다。 |
④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무너졌다。 |
해설: 총재정부(1795~1799년)는 공포정치 이후 수립된 정부로, 5명의 총재가 집행권을 행사했습니다. 그러나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렸고, 나폴레옹의 브뤼메르 18일 쿠데타(1799년 11월 9일)로 무너졌습니다. 이후 나폴레옹은 집정관 정부를 수립했습니다.
- **① 상퀼로트와 연대**: 상퀼로트는 급진파, 총재정부는 온건파 중심.
- **② 최고가격제**: 공포정치 시기에 시행, 총재정부는 폐지.
- **③ 안정과 번영**: 혼란과 어려움이 지속됨.
따라서 가장 적합한 설명은 **④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무너졌다**입니다。
문제 33
19세기 유럽의 보수주의가 가장 중요시했던 것은?
① 개인의 가치 |
② 이성 |
③ 전통 |
④ 진보 |
해설: 19세기 유럽의 보수주의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후 혁명적 변화에 대한 반발로 등장했습니다. 보수주의자들은 **전통**과 사회적 안정을 중시하며, 급진적 변화를 거부하고 왕정, 귀족제, 교회 등의 전통적 권위를 옹호했습니다.
- **① 개인의 가치**: 자유주의의 핵심.
- **② 이성**: 계몽주의와 혁명가들이 강조.
- **④ 진보**: 보수주의는 진보를 경계.
따라서 가장 중요시한 것은 **③ 전통**입니다。
문제 34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사회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길로 가장 중요하게 촉구한 것은?
① 설득 |
② 프롤레타리아 혁명 |
③ 계몽 |
④ 형제애 |
해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공산당 선언(1848년)에서 사회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프롤레타리아 혁명**을 촉구했습니다. 자본주의의 모순을 지적하며, 노동자 계급이 자본가 계급을 전복하고 생산 수단을 공동 소유하는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① 설득**: 혁명이 불가피하다고 봄.
- **③ 계몽**: 물질적 조건의 변화를 강조.
- **④ 형제애**: 이상은 아님, 혁명을 중시.
따라서 가장 중요하게 촉구한 것은 **② 프롤레타리아 혁명**입니다。
문제 35
1848년 유럽에서 일어난 2월혁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유럽 전체의 보수화로 귀결되었다。 |
② 중산층 부르주아와 노동자집단은 더욱 공고하게 연합했다。 |
③ 자유주의 지식인들의 주도로 민족주의가 실현되었다。 |
④ 혁명세력은 국가권력의 물리력을 능가하면서 확대되었다。 |
해설: 1848년 2월혁명은 프랑스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된 혁명입니다. 자유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를 바탕으로 왕정과 귀족 세력에 저항했으나, 대부분 보수 세력의 반격으로 실패했고, 유럽 전체의 보수화로 귀결되었습니다. 프랑스에서는 제2공화국이 수립되었으나, 루이 나폴레옹의 쿠데타로 제2제정이 들어섰습니다.
- **② 부르주아와 노동자 연합**: 갈등이 심화됨.
- **③ 민족주의 실현**: 일부 성공했으나 대부분 실패.
- **④ 혁명세력 확대**: 대부분 진압됨.
따라서 가장 적합한 설명은 **① 유럽 전체의 보수화로 귀결되었다**입니다。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세계의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의역사 기말시험 모의고사(2019년 1학기) (0) | 2025.04.04 |
---|---|
세계의역사 기말시험 모의고사(2018년 1학기) (0) | 2025.04.04 |
세계의역사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7년 1학기)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