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호혜 블로그

놀이지도 기말시험 모의고사(2013년 4학년) 본문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놀이지도

놀이지도 기말시험 모의고사(2013년 4학년)

호혜 블로그 2025. 3. 7. 12:40
728x90
2013 놀이지도 기말시험

2013 놀이지도 기말시험

문제를 읽고 정답을 선택하세요. 선택 후 결과와 해설이 표시됩니다.

시험 정보

과목: 놀이지도

시험 종류: 기말시험

학년도: 2013

학기: 2학기

학년: 4학년

문항 수: 35문항

출제 범위: 교재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 범위, 워크북

출제 위원: 방송대 김희태

제작 정보

웹앱 제작: 유종경

문제 1

놀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목표지향성
내적 동기유발성
비자발적 선택성
비사실적 속성
모름
해설: 놀이의 특성에서 '비자발적 선택성'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놀이는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내적 동기와 즐거움을 유발합니다. '목표지향성'은 외부 목표가 아닌 과정 중심성을 강조하며, '비사실적 속성'은 상상력을 반영합니다.

문제 2

다음 중 놀이에서 '마치 ~처럼' 이라고 표현되는 것은 놀이의 어떤 정의에 해당되는가?

과정지향성
비사실적 속성
즐거운 것
동기유발성
모름
해설: '마치 ~처럼'은 놀이의 비사실적 속성을 나타냅니다. 이는 현실과 다른 상상적 상황을 만들어 즐기는 놀이의 본질을 반영하며, 피아제의 상징놀이 이론과도 연결됩니다.

문제 3

놀이의 분류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가장 적합한 것은?

놀이는 인지놀이와 사회놀이로 나눈다.
인지놀이는 정서놀이를 포함한다.
구성놀이는 사회놀이에 속한다.
기능놀이는 사회놀이에 속한다.
모름
해설: 놀이는 발달 영역에 따라 인지놀이(기능, 구성, 상징 등)와 사회놀이(병행, 협동 등)로 분류됩니다. 나머지 선택지는 특정 놀이의 하위 범주를 잘못 연결한 설명입니다.

문제 4

유아교육에서 놀이를 활용하는 가치측면에 해당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정리시간
학습시간
휴식시간
미용시간
모름
해설: 유아교육에서 놀이는 학습의 주요 매개체로 사용되며, 놀이를 통한 학습시간은 발달과 교육적 가치를 동시에 충족합니다. 듀이의 경험주의 교육론에서도 놀이가 학습의 핵심임을 강조합니다.

문제 5

놀이를 인간의 중요한 부분으로 판명하면서 놀이를 에너지의 소비라고 주장한 사람은 다음 중 누구인가?

로크
프뢰벨
실러
칸트
모름
해설: 실러(Schiller)는 잉여 에너지 이론을 통해 놀이를 여분의 에너지 소비로 보았습니다. 이는 인간의 본질적 활동으로서 놀이의 중요성을 강조한 고전적 이론입니다.

문제 6

놀이는 아동에게 내적 지식을 제공하며 사회와 자연에 대한 자유롭고 본질적으로 흥미로운 탐색이라고 주장한 사람은?

실러
칸트
페스탈로치
듀이
모름
해설: 존 듀이(Dewey)는 놀이를 통해 아동이 자유롭게 탐색하며 지식을 구성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그의 진보주의 교육철학과 연결됩니다.

문제 7

유아를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해 놀이를 사용한다면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적절한가?

발달상태의 평가
순위구분의 평가
질서유지의 평가
반복을 위한 평가
모름
해설: 놀이는 아동의 발달 상태를 자연스럽게 관찰하고 평가하는 데 적합합니다. 이는 놀이 관찰법이 발달 심리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유입니다.

문제 8

놀이는 아동기의 전유물이며 아동기는 놀이를 위해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놀이이론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연습이론
반복이론
잉여 에너지 이론
휴식이론
모름
해설: 연습이론(Practice Theory)은 놀이가 아동기의 핵심이며, 미래 삶을 준비하는 연습 과정이라고 봅니다. 그루스(Gross)가 대표적인 주장자입니다.

문제 9

그루스가 아동의 발달에 따라 구분한 놀이 활동의 종류에 해당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기능적 놀이
사회적 놀이
상상놀이
구성놀이
모름
해설: 그루스는 놀이를 사회적 놀이로 분류하며, 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이 강조됩니다.

문제 10

정신분석이론에서 놀이는 상상 속에서 원하는 바를 표현하는 것이므로 놀이의 상태는 다음 중 무엇에 해당하는가?

즐거운 것
순환적인 것
현실적인 것
심각한 것
모름
해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 놀이는 현실적 욕구를 상상으로 표현하는 수단입니다. 이는 비현실적 상상과 구분됩니다.

문제 11

피아제의 감각운동기에서 1차 순환반응이나 2차 순환반응은 다음 중 어떤 놀이형태를 의미하는가?

상징놀이
감각놀이
인지놀이
연습놀이
모름
해설: 피아제의 감각운동기에서 순환반응은 연습놀이로 분류되며, 반복적 행동을 통해 신체적 기술을 익힙니다.

문제 12

다음 중 브루너와 셔튼-스미스의 이론과 연결될 수 있는 이론은 무엇인가?

휴식이론
연습이론
인지이론
반복이론
모름
해설: 브루너와 셔튼-스미스는 연습이론을 통해 놀이가 기술 습득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운다고 보았습니다.

문제 13

다음 중 영아기 유아의 상징놀이 발달에 대해 휴스(Hughes)가 설명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탈맥락화
탈중심화
통합
변형 생성화
모름
해설: 휴스는 상징놀이 발달에서 변형 생성화(Transformation)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탈맥락화와 통합은 주요 요인입니다.

문제 14

영아가 성장하면서 놀이가 점점 어떤 형태로 조직화되는 것을 의미하는 상징놀이의 발달 형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통합
조직화
탈맥락화
가작화
모름
해설: 상징놀이는 통합(Integration)을 통해 점차 복잡한 형태로 조직화됩니다. 이는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과도 일치합니다.

문제 15

다음 중 만 2세 유아들이 보여주는 파튼의 사회놀이의 형태로 가장 적합한 것은?

병행놀이
협동놀이
단독놀이
연합놀이
모름
해설: 파튼(Parten)의 사회놀이 발달 단계에서 만 2세는 주로 단독놀이(Solitary Play)를 보입니다.

문제 16

유아들이 병행놀이에서 점차 서로 나누어 갖기, 빌려주기, 차례로 하기 등의 활동들이 나타난다면 이는 파튼의 어떤 놀이에 해당하는가?

연합놀이
병행놀이
상호존중의 병행놀이
협동놀이
모름
해설: 연합놀이(Associative Play)는 병행놀이에서 발전하여 상호작용이 증가하는 단계로, 파튼의 이론에 따라 설명됩니다.

문제 17

놀이공간의 밀집도가 높으면 유아의 놀이는?

방관자적 행동이 감소한다.
병행놀이가 증가한다.
놀이주제가 다양해진다.
협동놀이가 증가한다.
모름
해설: 공간 밀집도가 높으면 유아는 병행놀이(Parallel Play)를 더 많이 하게 됩니다. 이는 공간 제약으로 상호작용이 줄어드는 결과입니다.

문제 18

다음 중 놀이감이 현실세계의 것과 얼마나 유사한가를 말하는 것은?

실물성
가변성
현실성
유사성
모름
해설: 현실성(Realism)은 놀이감이 실제 세계와 얼마나 유사한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놀이의 상징적 거리와 관련됩니다.

문제 19

다음 중 변형된 사물이 실제로 그것을 상징하고자 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는?

상징적 거리
사물 표상
변형 상징도
의미된 것
모름
해설: 상징적 거리(Symbolic Distance)는 변형된 사물이 상징하는 대상과의 유사성을 나타내며, 상징놀이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문제 20

다음 중 하틀리(Hartley, 1971)가 지적하는 극놀이의 기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는 기능
분류 활동 기능
금지된 충동의 출구기능
성인의 능력을 표현하는 기능
모름
해설: 하틀리는 극놀이가 금지된 충동을 안전하게 표출하는 출구 기능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는 정신분석적 관점과도 연결됩니다.

문제 21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할 때 예견되는 행동목록표를 만들어 행동의 발생에 대해 기록하는 형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체크리스트
사회성 측정법
질문지법
평정척도
모름
해설: 체크리스트는 사전에 정의된 행동을 기록하는 관찰 도구로, 놀이 관찰에 적합합니다.

문제 22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할 때 어떤 사건이 발생하는 동안 또는 발생 직후 그 사건을 기록하는 것으로 형식의 제약이 없어서 유아교사가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관찰 방법은?

평정척도
일화기록법
시간표집법
체크리스트
모름
해설: 일화기록법(Anecdotal Record)은 사건 발생 시 자유롭게 기록하며, 유아교사에게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문제 23

사회극놀이를 진행하기 위해 필요되며 유아의 또래간 유능성과 밀접히 관련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조망수용능력
상호주관성
감정이입능력
이타적 행동
모름
해설: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은 사회극놀이에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며, 사회적 유능성의 핵심입니다.

문제 24

스밀란스키(Smilansky, 1968)가 제시하는 사회극놀이 척도에 해당되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구조적 접근
가상전환
일관성
인지적 이해
모름
해설: 스밀란스키는 가상전환(Imaginative Transformation)을 사회극놀이의 핵심 척도로 보았습니다.

문제 25

다음 중 실내의 놀이영역을 배치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놀이 영역을 개방적으로 하여 교사가 관찰가능하게 한다.
놀이 영역의 크기는 유아들의 선호도에 따라 결정한다.
교육내용과 유아들의 흥미에 따라 재배치할 수 있게 한다.
놀이활동의 관련 정도에 따라 인접하여 배치한다.
모름
해설: 놀이 영역 크기를 유아 선호도에만 의존하면 교육적 균형이 깨질 수 있어 부적합합니다. 객관적 기준이 필요합니다.

문제 26

다음 중 만 3세에서 8세 사이의 유아들을 위한 실외 놀이장을 설계하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놀이공간의 개방성
유아의 감각 자극성
놀이시설의 고정성
유아의 신체조건
모름
해설: 놀이시설의 고정성은 창의성과 유연성을 제한하므로 부적합합니다. 유아 발달을 위해 가변성이 중요합니다.

문제 27

다음 중 실외놀이장을 조직할 때 균형을 고려한다면 어느 것이 가장 적합한가?

단단한 지면과 부드러운 지면과의 균형
놀이감과 놀이시설간의 균형
정적놀이 활동과 휴식공간과의 균형
놀이시설과 놀이창고와의 균형
모름
해설: 단단한 지면과 부드러운 지면의 균형은 안전성과 놀이 다양성을 보장하며, 실외놀이장 설계의 핵심입니다.

문제 28

다음 중 창의적인 놀이시설물에 해당하는 것은?

정글짐
전화선 감개
미끄럼틀
그네
모름
해설: 전화선 감개는 비구조적 재료로, 유아의 창의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놀이시설물입니다.

문제 29

다음 중 부적절한 놀이감의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경제성
다양성
견고성
어른의 취향
모름
해설: 놀이감은 유아의 흥미와 발달을 기준으로 해야 하며, 어른의 취향은 부적절한 요소입니다.

문제 30

놀이감 조각을 옆으로 또는 위로 추가하여 구성물을 완성하며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의 특성이 그대로 존재하는 놀이감의 분류에 해당하는 것은?

끼우기 놀이감
구성 놀이감
기준치수 놀이감
자유형 놀이감
모름
해설: 기준치수 놀이감(Unit Blocks)은 규격화된 조각으로 구성되며, 전체와 부분의 특성이 유지됩니다.

문제 31

교육적 놀이의 문제점에 대한 다음의 설명 가운데 가장 적합한 것은?

놀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므로 전혀 문제될 것이 없다.
학습자의 진보상황을 기록하기 어렵다.
유아들이 사용하는 놀이감의 준비가 곤란하다.
가정과 기관과의 연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모름
해설: 교육적 놀이는 학습 성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놀이의 자유로운 본질 때문입니다.

문제 32

교사가 유아의 놀이에 참여하여 하나의 역할을 하면서 놀이를 지도하는 방법은?

내적 중재
놀이지도
협동놀이
외적 중재
모름
해설: 내적 중재(Inside Intervention)는 교사가 놀이에 직접 참여하며 지도하는 방식입니다.

문제 33

유아의 놀이에 적극 참여하면서 놀이장면이 풍부하고 확장되며 변화 및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놀이 개입의 형태는?

감독 및 방향전환자
놀이 안내자
환경구성자
공동놀이자
모름
해설: 놀이 안내자(Facilitator)는 놀이를 확장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문제 34

쌓기 놀이의 발달단계와 그 설명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단계 : 구조물을 만드는 단계
2단계 : 다리를 만드는 단계
3단계 : 장식적 패턴이 나타나는 단계
4단계 : 폐쇄공간을 만드는 단계
모름
해설: 쌓기 놀이의 4단계는 폐쇄공간(Enclosures)을 만드는 단계로, 발달 순서에 따라 정확히 연결됩니다.

문제 35

실외놀이터에서 유아들이 모래놀이를 하고 있을 때 유아교사가 할 수 있는 역할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유아들이 모래를 다른 유아에게 던지지 않게 한다.
유아들이 반드시 지정된 곳에서만 모래를 사용하게 한다.
건조한 날씨일 때는 모래에 물을 뿌려 습기를 유지한다.
놀이가 끝난 후 놀이감을 정리정돈 하도록 지도한다.
모름
해설: 모래놀이는 자유로운 탐색을 장려해야 하며, 지정된 곳에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것은 놀이의 본질을 해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