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학우
- 시험
- 정독도서관
- 기출문제
- 문제
- 유아교육과 기말고사
- 상담심리학 모의고사
- 학생
- 방통대 기말고사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방송통신대학교 기출문제
- 유아교육
- 영유아발달
- 소담정
- 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 해설
- 기출
- 유아교육과
- 놀이지도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상담심리학 기출문제
- 방통대 기출문제
- 상담심리학
- 기말고사
- 방통대 유아교육과
- 기출문제 해설
- 방통대
- 구내식당
- Today
- Total
호혜 블로그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3년) 본문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3년 2학기)
문제를 읽고 항을 클릭하여 정답을 확인하세요.
시험 정보
과목: 유아동작교육
시험 종류: 기말시험
범위: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자료 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제작 정보
출제자: 방송대 전인옥
웹앱 제작자: 유종경
문제 1
신체를 이용하여 스스로 자기 신체와 동작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Laban의 이론에 기초를 둔 동작교수법은?
1. Katz와 Chard의 동작교수법 | 2. Emerson과 Leigh의 동작교수법 |
3. Gallahue와 Gilliom의 동작교수법 | 4. Weikart와 Brown의 동작교수법 |
해설: Laban의 이론은 신체, 공간, 노력, 관계의 네 가지 동작 요소를 중심으로 한 동작 탐색을 강조합니다. Gallahue와 Gilliom의 동작교수법은 이 이론에 기초하여 유아가 스스로 신체와 동작을 탐색하도록 유도합니다.
출처: Gallahue, D. L. (1996).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다문화 동작활동
1. 탐색 - 발견 - 선택 - 조합 - 수행 - 개별화 | 2. 탐색 - 발견 - 조합 - 선택 - 수행 - 개별화 |
3. 탐색 - 조합 - 발견 - 수행 - 선택 - 개별화 | 4. 탐색 - 조합 - 선택 - 발견 - 수행 - 개별화 |
해설: Gallahue의 동작교수법은 탐색-발견-조합-선택-수행-개별화의 순서를 따르며, 이는 유아가 동작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키는 과정을 반영합니다. 선택지 2번이 이 순서를 정확히 나타냅니다.
출처: Gallahue, D. L. (1996). Developmental Physical Education for Today’s Children;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
Gallahue와 Gilliom 동작교수법의 공통적인 강조점이 아닌 것은?
1. 동작의 기본요소를 기초로 문제 상황이나 활동주제를 삼는다. | 2. 유아에게 스스로 탐색하고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3. 유아에게 적절한 질문을 하고 동작의 개념을 언어화 해 본다. | 4.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유아가 따라 움직이도록 유도한다. |
해설: Gallahue와 Gilliom은 간접적 교수법을 통해 유아의 자율적 탐색을 강조합니다. 선택지 4번(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따라 하게 하는 것)은 직접적 교수법으로, 이들의 접근법과 다릅니다.
출처: Gilliom, B. C. (1970). Basic Movement Education for Children;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4
유아동작교육의 4가지 영역 중 아프리카 가나의 <거미 아난시> 동극이 속하는 영역은?
1. 지각운동 | 2. 기본동작 |
3. 리듬동작 | 4. 표현동작 |
해설: <거미 아난시> 동극은 이야기를 신체로 표현하는 활동으로, 유아동작교육의 표현동작 영역에 속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5
유아동작활동 중 소도구를 활용한 활동에 해당하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가) 스카프를 흔들어 바람 만들기
(나) 매트에서 옆으로 구르기
(다) 줄을 이용한 단체놀이
(라) 유니바를 넘어 멀리뛰기
1. (가), (나) | 2. (다), (라) |
3. (가), (다) | 4. (나), (라) |
해설: 소도구를 활용한 활동은 스카프(가)와 줄(다)을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나)와 (라)는 소도구 없이 신체로만 수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번 (가), (다)입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6
Gilliom 동작교수법에서 제시한 동작교육의 주제에서 힘ㆍ무게 개념 중 '힘의 질'에 대하여 적절하게 언어화한 것은?
1. 갑자기 딱딱하게 - 천천히 부드럽게 | 2. 세게 - 약하게 |
3. 무겁게 - 가볍게 | 4. 점차적으로 사라지게 |
해설: Gilliom의 동작교육에서 '힘의 질'은 동작의 방식(갑작스럽거나 부드럽게)을 나타내며, 선택지 1번이 이를 적절히 언어화했습니다.
출처: Gilliom, B. C. (1970). Basic Movement Education for Children;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7
유아동작교육의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유아가 신체동작을 통해서 타인을 알아가는 과정이다. | 2. 동작의 기본원리와 요소를 배우는 기본동작만 포함된다. |
3. 동작을 위한 교육과 동작을 통한 교육으로 크게 나뉜다. | 4. 단순히 신체활동을 가르치는 교육방법만을 연구ㆍ적용한다. |
해설: 유아동작교육은 동작 기술 습득(동작을 위한 교육)과 전인적 발달(동작을 통한 교육)을 포괄합니다. 선택지 3번이 이를 정확히 설명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8
동작교수방법은 직접적 교수방법과 간접적 교수방법으로 나누어진다. 교사가 동작과제를 제시하고 유아의 동작가능성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표현해 보게 하는 간접적 교수방법은?
1. 발견적 방법 | 2. 탐색적 방법 |
3. 모방적 방법 | 4. 관찰적 방법 |
해설: 탐색적 방법은 교사가 과제를 제시하고 유아가 창의적으로 동작을 탐구하게 하는 간접적 교수법입니다.
출처: Mosston, M., & Ashworth, S. (2002). Teaching Physical Education;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9
아프리카 짐바브웨의 손리듬놀이
1. 발달적합성의 원리 | 2. 동심원의 원리 |
3. 나선형의 원리 | 4. 통합성의 원리 |
해설: 기본동작과 리듬동작을 결합하여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은 통합성의 원리를 적용한 것입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0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의 심리적 환경구성 원리로 적합한 것은?
1. 충분한 개방 공간을 마련하여 동작활동을 경험하게 한다. | 2. 다양한 동작경험을 주는 교육매체와 교수자료를 제공한다。 |
3. 유아가 사용하기 쉽고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4. 유아의 정서, 사회성, 창의성 등이 증진되도록 지원해 준다。 |
해설: 심리적 환경구성은 유아의 정서, 사회성, 창의성 증진을 목표로 하며, 선택지 4번이 이에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1
유아동작활동을 위한 공간구성 시 고려할 점이 아닌 것은?
1. 넓고 개방된 공간을 확보하여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 2. 좁은 공간에서는 서로 충돌할 수 있으므로 한 활동만 한다。 |
3. 안전을 위해 실내바닥은 탄력성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 4. 주의 집중하도록 주위가 산만한 공간은 가능한 피하도록 한다。 |
해설: 좁은 공간에서도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창의적 구성이 필요하며, 한 활동만 제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2
동작활동기구의 배치유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1. 병렬식 배치에서 교사가 보조하는 기구는 난이도를 낮게 한다。 | 2. 병렬식 배치는 유아들이 기다리지 않고 모두 활동할 수 있다。 |
3. 순환식 배치는 운동기구를 다양하게 접하도록 학기 말에 한다。 | 4. 순환식 배치는 운동기구의 연결을 높이가 있는 철봉으로 한다。 |
해설: 순환식 배치는 유아가 다양한 운동기구를 경험하도록 학기 말에 활용되며, 이는 활동의 다양성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3
다음 ( ) 안에 가장 적합한 말을 바로 나열한 것은?
표현동작 활동은 동화를 활용하여 문학 속의 동작적 요소와 극적인 요소를 잘 표현하는 ( ), 유아의 창의적 사고와 생활경험을 잘 반영한 ( ), 음악적 요소와 춤의 요소를 잘 표현한 ( )의 셋으로 크게 나뉜다。
1. 동극 - 창의적 신체표현 - 무용 | 2. 동극 - 리듬표현 - 무용 |
3. 동극 - 창의적 신체표현 - 리듬체조 | 4. 동극 - 리듬표현 - 리듬체조 |
해설: 표현동작 활동은 동극(문학적 표현), 창의적 신체표현(창의적 사고), 무용(음악적 춤 요소)으로 나뉘며, 선택지 1번이 이를 정확히 반영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4
유아동작교육의 평가방법 중 유아가 달리기, 던지기, 잡기 등의 활동을 하고 있을 때 유아의 동작유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는 방법은?
1. 결과 중심 접근방법 | 2. 결과 서술적 접근방법 |
3. 과정 중심 접근방법 | 4. 과정 서술적 접근방법 |
해설: 과정 서술적 접근법은 동작의 질적 분석을 통해 유아의 수행 과정을 평가하며, 결과보다 과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5
다음은 유아의 기초체력을 검사한 내용이다. 이 내용에 적합한 평가영역은?
어깨너비 간격의 2개의 책상 사이에 서서 양팔로 책상을 짚고 몸을 지탱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1. 근력 및 근지구력 | 2. 유연성 |
3. 평형성 | 4. 순발력 |
해설: 몸을 지탱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은 근육의 힘과 지속력을 평가하므로 근력 및 근지구력 영역에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6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원리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표준화의 원리 | 2. 놀이학습의 원리 |
3. 개별화의 원리 | 4. 다감각적 표현활동의 원리 |
해설: 유아동작교육은 개별화와 놀이를 중시하며, 표준화는 유아의 창의성과 개별성을 제한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7
다음 중 '동작을 위한 교육목표'를 바로 서술할 것은?
1. 유아동작교육은 사회성 발달을 도모한다。 | 2. 유아동작교육은 음악성 발달을 촉진한다。 |
3. 유아동작교육은 지각운동능력을 발달시킨다。 | 4. 유아동작교육은 창의적 표현력을 길러준다。 |
해설: '동작을 위한 교육'은 동작 기술의 습득을 목표로 하며, 지각운동능력 발달(선택지 3번)이 이에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8
'~하는 척하기(pretending)' 또는 '어떤 것이 되어보기' 등의 방법으로 교사가 “우리 몸이 팽이가 되어 빙글빙글 돌아보자。”라고 제시하는 동작교수법은?
1. 신체적 동작교수법 | 2. 리듬적 동작교수법 |
3. 극적 동작교수법 | 4. 통합적 동작교수법 |
해설: '척하기'와 '되어보기'는 상상력과 역할 놀이를 활용하는 극적 동작교수법에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19
창의적인 사고와 표현을 장려하기 위한 교육방법과 관계가 먼 것은?
1. 다양한 동작표현을 자극하는 과제와 소재를 제공한다。 | 2. 단순히 흉내내지 말고 상상력과 다양한 사고를 격려한다。 |
3.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유아가 획일적으로 따라하게 한다。 | 4. 세심히 관찰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는 유아를 격려한다。 |
해설: 창의적 사고는 자율적 탐색을 통해 발달하며,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따라 하게 하는 것은 획일성을 유도하므로 창의성과 거리가 멀다.
출처: Torrance, E. P. (1974).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0
Emerson과 Leigh의 동작교수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1. 동작 기본요소 중심으로 기본동작능력을 탐색하게 한다。 | 2. 환상과 상상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다。 |
3. 표현, 확장, 상상, 창작의 4단계로 교수방법이 진행된다。 | 4. 창작에서 교사 역할은 새로운 가능성을 소개하는 것이다。 |
해설: Emerson과 Leigh의 동작교수법은 Laban의 이론을 기반으로 동작 기본요소를 탐색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선택지 1번은 올바른 설명이므로, 바르지 않은 설명은 다른 선택지에 해당합니다. (정답 데이터에 따라 1번으로 설정됨.)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1
Ritson의 동작교수법에서 동작주제의 교수학습과정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상황구성하기 - 지시따르기 - 모방하기 - 창조하기 - 연합시키기 | 2. 모방하기 - 지시따르기 - 상황구성하기 - 창조하기 - 연합시키기 |
3. 지시따르기 - 상황구성하기 - 모방하기 - 연합시키기 - 창조하기 | 4. 지시따르기 - 모방하기 - 상황구성하기 - 연합시키기 - 창조하기 |
해설: Ritson의 동작교수법은 지시따르기-모방하기-상황구성하기-연합시키기-창조하기의 순서로 진행되며, 선택지 4번이 이를 정확히 반영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2
비구조적, 창의적 리듬동작활동 진행시 유의점이 아닌 것은?
1. 교사는 유아의 상상력이 자유롭게 발휘될 수 있도록 한다。 | 2. 교사는 끊임없이 다양한 유형의 창의적인 질문을 연구한다。 |
3. 구조적-반구조적-비구조적 활동의 단계적 지도를 한다。 | 4. 유아에게 교사의 생각을 먼저 제시하고 시범을 보인다。 |
해설: 비구조적 활동은 유아의 자율성을 중시하며,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생각을 강요하는 것은 이에 맞지 않습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3
유아의 지각운동능력의 발달적 경향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한 것은?
1. 빨강, 파랑 색상구별과 색상 지각능력은 7세 이후 발달한다。 | 2. 과거, 현재, 미래를 구별하는 시간지각은 3세 이전에 발달한다。 |
3. 크기 지각능력은 4세 이후 방향 지각능력보다 늦게 발달한다。 | 4. 무게 지각능력은 5세 이후 모양 지각능력보다 늦게 발달한다。 |
해설: 무게 지각능력은 모양 지각보다 늦게 발달하며, 이는 유아가 물리적 특성을 점진적으로 이해하는 과정과 일치합니다.
출처: Piaget, J.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4
Slater의 기초-응용동작 통합교수법에서 '동작의 기초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신체, 공간, 노력, 관계 | 2. 신체표현활동, 체조활동, 게임활동 |
3. 이동기술, 비이동기술, 조작기술 | 4. 도입, 움직임 익히기, 창의적 표현, 평가 |
해설: Slater의 기초영역은 신체, 공간, 노력, 관계 등 동작의 기본 요소를 포함하며, 신체표현활동, 체조활동, 게임활동은 응용 영역에 속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5
Weikart 동작교수법의 '4단계 언어과정'에서 마지막 4단계를 설명한 것은?
1. 말하기: 주의 깊게 듣는다。 | 2. 생각하고 행하기: 내재화된 찬트로 움직인다。 |
3. 말하고 행하기: 교사의 찬트에 맞추어 움직인다。 | 4. 속삭이고 행하기: 교사속삭임과 내재화 찬트를 일치시킨다。 |
해설: Weikart의 4단계 언어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는 '생각하고 행하기'로, 유아가 언어를 내재화하여 스스로 동작을 수행합니다.
출처: Weikart, P. S. (1989). Teaching Movement & Dance;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6
유아동작교육 운영에서 교사의 역할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다양한 동작활동을 창의적인 방법으로 경험하게 한다。 | 2. 신체와 동작에 대하여 다각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
3. 점진적으로 동작을 탐색하되 은유법을 사용한다。 | 4. 유아와 교사의 동작 움직임을 말로 언어화 한다。 |
해설: 교사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지도를 해야 하며, 은유법은 유아에게 혼란을 줄 수 있어 적절하지 않습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7
제자리에서 신체부위 또는 리본, 스카프 흔들기를 하는 <흔들흔들> 동작활동이 속하는 기본동작 유형은?
1. 안정동작 | 2. 이동동작 |
3. 조작동작 | 4. 결합동작 |
해설: 제자리에서 수행되는 <흔들흔들> 동작은 이동 없이 안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안정동작에 속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8
높고, 낮은 <거미줄 지나가기> 동작활동의 활동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는 공간지각 운동요소는?
1. 공간분류 | 2. 공간높이 |
3. 공간범위 | 4. 공간관계 |
해설: 높고 낮은 거미줄을 지나가며 공간의 높이를 인식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발달하므로 공간높이가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29
리듬동작활동 진행의 유의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교사 생각을 유아에게 제시해서 강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2. 교사는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 준다。 |
3. 다양한 경험을 위해 견학 및 현장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 4. 구조적ㆍ반구조적ㆍ비구조적 활동을 균형 있게 제공한다。 |
해설: 리듬동작활동은 유아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며, 교사가 강요하는 것은 부적절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0
동작교육활동을 위한 공간구성에서 고려할 점을 바로 설명한 것을 두 개 고르면?
(가) 유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동작교구를 제공한다。
(나) 활동 도구는 같은 것을 늘 비치하여 반복 사용한다。
(다) 매력적 활동영역을 구성하되 유아 출입을 제한한다。
(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간에 위치를 선정한다。
1. (가), (나) | 2. (가), (다) |
3. (가), (라) | 4. (나), (다) |
해설: 공간구성에서 접근성(가)과 안전성(라)이 중요하며, 이는 유아의 동작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1
다음 ( 가 ), ( 나 ) 안에 적합한 리듬요소를 고르면?
Brown의 동작교수법은 소리와 인간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박, 악센트, 마디, ( 가 ), 지속시간, ( 나 ), 악구의 7가지 기본적 리듬요소를 동작교육 내용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했다。
1. 속도, 리듬유형 | 2. 속도, 인식 |
3. 리듬유형, 리듬주제 | 4. 인식, 리듬흐름 |
해설: Brown의 7가지 리듬요소는 박, 악센트, 마디, 속도, 지속시간, 리듬유형, 악구로 구성되며, 선택지 1번이 이를 정확히 반영합니다.
출처: Brown, J. M. (1988). Movement Education Concepts;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2
리듬동작활동은 구조성과 창의성 정도에 따라 분류된다. 다음과 같은 리듬동작활동이 속하는 것은?
<꼬마생쥐>와 아프리카 카메룬의
1. 반구조적 리듬동작활동 | 2. 구조적 리듬동작활동 |
3. 비구조적 리듬동작활동 | 4. 창의적 리듬동작활동 |
해설: 노랫말에 따라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정형화된 구조적 리듬동작활동에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3
<풍선처럼 가볍게> 동작활동을 통해 발달시킬 수 있는 지각운동능력은?
1. 방향지각 | 2. 시간지각 |
3. 무게지각 | 4. 신체지각 |
해설: '가볍게'라는 표현을 통해 무게의 개념을 느끼고 표현하므로 무게지각 능력이 발달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4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통합교수법의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시작부터 종결까지 융통성이 전혀 없게 진행된다。 | 2. 주제에 대해 깊이 있는 탐구활동을 할 수 없다。 |
3.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표현활동과 표상활동을 할 수 있다。 | 4. 관계에 기초한 유아-유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지 않다。 |
해설: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통합교수법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표현과 표상 활동을 촉진하며, 주제에 대한 깊은 탐구를 지원합니다.
출처: Katz, L. G., & Chard, S. C. (2000). Engaging Children’s Minds;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문제 35
<꽃이 될래요> 음악에 맞추어 계획안을 작성한 후 '손 허리 감기', '뒷머리 쓸기' 등 한국 전통무용의 기본 춤사위를 실습하였다. 이 활동은 어떤 동작활동의 영역을 통합한 것인가?
1. 기본동작 + 리듬동작 | 2. 리듬동작 + 표현동작 |
3. 지각운동 + 기본동작 | 4. 지각운동 + 리듬동작 |
해설: 음악에 맞춘 리듬동작과 전통무용의 춤사위를 통한 표현은 리듬동작과 표현동작의 통합에 해당합니다.
출처: 교재 및 TV강의 전 범위, 워크북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유아동작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8년) (0) | 2025.04.26 |
---|---|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7년) (0) | 2025.04.26 |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6년) (0) | 2025.04.25 |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5년) (0) | 2025.04.25 |
유아동작교육 기말시험 모의고사(2014년) (0)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