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유아교육과 기말고사
- 기말고사
-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유아교육과
- 영유아발달
- 방송통신대학교 기출문제
- 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 문제
- 방통대
-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 기출문제
- 시험
- 놀이지도
- 방송통신대학교
- 구내식당
- 정독도서관
- 학우
- 학생
- 상담심리학 기출문제
- 방통대 기출문제
- 해설
- 기출문제 해설
- 방통대 기말고사
- 상담심리학
- 소담정
- 유아교육
- 상담심리학 모의고사
- 기출
- 방통대 유아교육과
- Today
- Total
호혜 블로그
교육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5년 1학기) 본문
교육평가 모의고사(2015년)
문제를 읽고 항을 클릭하여 정답을 확인하세요.
시험 정보
과목: 교육평가
시험 종류: 기말시험
출제범위: 교재, 워크북,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출제위원: 방송대 김희태
제작 정보
웹앱제작: 유종경
문제 1
다음 중 유아교육평가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부모 능력의 평가 기능 | 2. 교사 능력의 점검 기능 |
3. 유아 이해에 필요한 기초 자료 수집 기능 | 4. 유아의 교육 대리인 선정 기능 |
해설: 유아교육평가의 주요 기능은 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이는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 이론(1979)에 기반하여, 유아의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 적절한 교육적 개입을 계획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부모나 교사의 능력 평가는 유아교육평가의 직접적인 목적이 아닙니다.
문제 2
다음 중 '수행평가 도입기'라고 불리는 교육평가의 시기는?
1. 1980년대 초반 | 2. 1990년대 후반 |
3. 1970년대 중반 | 4. 1990년대 초반 |
해설: 수행평가는 1990년대 후반에 교육평가의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이는 Wiggins(1998)의 '진정한 평가(Authentic Assessment)' 이론에 따라 학습자의 실제 수행 능력을 평가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한국에서도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문제 3
다음 중 교육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절차 등이 제대로 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은?
1. 진단 평가 | 2. 절대 평가 |
3. 내용 평가 | 4. 형성 평가 |
해설: 형성 평가는 Bloom(1968)의 '학습을 위한 평가' 개념에 따라, 교육프로그램 진행 중 목표와 방법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학습 과정에서의 피드백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문제 4
다음 중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의 특색을 의회와 정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비교하시오'라는 문항에 적합한 서술형 및 논술형의 평가유형은?
1. 분량제한형 | 2. 비교방식 제한형 |
3. 내용제한형 | 4. 응답자유형 |
해설: 내용제한형은 특정 주제(여기서는 '의회와 정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 답변을 요구하는 평가 유형입니다. 이는 Stufflebeam(1971)의 CIPP 모델에서 평가의 맥락적 제한을 강조한 사례와 유사하며, 응답자가 핵심 내용에 집중하도록 유도합니다.
문제 5
다음 중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가운데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하는 것은?
1. 평가 내용과 시기의 구체화 | 2. 평가 목적의 명료화 |
3. 예시답안 및 채점 기준표 작성 | 4. 평가 방법 및 절차의 설계 |
해설: 교육평가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평가 목적을 명료화하는 것입니다. Cronbach(1963)의 평가 이론에 따르면, 목적이 명확해야 평가의 방향과 방법이 결정되며, 이는 효과적인 평가 설계의 기초가 됩니다.
문제 6
다음 중 여러 개의 답지 중 주로 하나의 답을 선택하게 하는 평가의 유형은?
1. 선다형 문항 | 2. 연결형 문항 |
3. 진위형 문항 | 4. 완성형 문항 |
해설: 선다형 문항은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객관식 평가 유형으로, Ebel(1972)의 문항 설계 이론에서 학습자의 지식 측정에 효과적인 도구로 언급됩니다.
문제 7
다음 중 문항의 쉽고 어려움을 나타내는 지수로 문항의 정답률을 사용하는 것은?
1. 문항 반응분포 | 2. 문항 난이도 |
3. 문항 추측도 | 4. 문항 변별도 |
해설: 문항 난이도는 문항의 정답률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정답률이 높을수록 쉬운 문항으로 간주됩니다. 이는 고전적 검사 이론(Classical Test Theory, Lord & Novick, 1968)에서 문항 분석의 핵심 지표로 사용됩니다.
문제 8
다음 중 100명의 피험자 가운데 40명이 5지 선다형의 문항에서 오답을 했을 때의 문항추측도의 수치에 해당하는 것은?
1. 0.4 | 2. 0.1 |
3. 0.2 | 4. 0.6 |
해설: 문항추측도는 무작위 선택 시 정답 확률을 의미하며, 5지 선다형에서는 1/5 = 0.2입니다. Gulliksen(1950)의 이론에 따르면, 추측도는 문항 형식에 따라 고정되며, 여기서는 정답률(0.6)이나 오답률(0.4)이 아닌 문항 구조만 고려합니다.
문제 9
다음 중 가장 바람직한 문항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은?
1. 정답률 60%의 문항을 보인 4지 선다형 문항 | 2. 정답률 20%의 문항을 보인 4지 선다형 문항 |
3. 오답지매력도 60%의 문항을 보인 4지 선다형 문항 | 4. 문항변별도가 0.2를 보인 4지 선다형 문항 |
해설: 오답지매력도가 60%인 문항은 오답지가 학습자의 오해를 잘 유도하여 문항의 질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Ebel(1972)에 따르면, 바람직한 문항은 난이도(정답률)와 변별도 외에도 오답지의 매력도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여기서는 3번이 가장 적합합니다.
문제 10
다음 중 양호도(良好度)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타당도, 신뢰도, 개념도 | 2. 개념도, 실용도, 타당도, 신뢰도 |
3. 실용도, 상관도, 개념도 | 4. 적합도, 타당도, 신뢰도 |
해설: 양호도는 평가 도구의 품질을 나타내며, Messick(1995)의 타당도 이론에 따라 타당도와 신뢰도가 핵심 요소입니다. 적합도는 평가의 맥락적 적절성을 포함하므로, 4번이 가장 포괄적이고 적합합니다.
문제 11
다음 중 요인분석이나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타당도는?
1. 구인 타당도 | 2. 내용 타당도 |
3. 안면 타당도 | 4. 체제적 타당도 |
해설: 구인 타당도는 측정 도구가 이론적 개념을 잘 반영하는지를 확인하며, Cronbach & Meehl(1955)의 논문에 따라 요인분석과 상관계수로 검증됩니다.
문제 12
다음 중 검사 내용이나 절차가 검사를 실시하고자 하는 피험자들의 사회문화적인 배경이나 주변 상황에 타당한지를 검토하는 것은?
1. 체제적 타당도 | 2. 사회문화적 타당도 |
3. 생태학적 타당도 | 4. 구인 타당도 |
해설: 생태학적 타당도는 Bronfenbrenner(1979)의 생태학적 이론에 기반하여, 평가가 피험자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합한지를 검토합니다.
문제 13
다음 중 신뢰도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평가하려는 구체적인 목표나 내용을 제대로 평가하는 정도 | 2. 관찰 점수 가운데 오차점수가 차지하는 비율의 정도 |
3. 검사 점수가 얼마나 정확하고 일관성이 있는가의 정도 | 4. 평가 내용이 전집을 잘 대표하는지를 따지는 정도 |
해설: 신뢰도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의미하며, Cronbach(1951)의 신뢰도 이론에서 반복 측정 시 결과의 안정성을 강조합니다.
문제 14
다음 중 2명 이상의 채점자가 채점을 하였을 때 그 결과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채점자간 일치도 | 2. 채점자간 오차점수 |
3. 상관계수 | 4. 채점자간 변별도 |
해설: 채점자간 일치도는 다수 채점자의 결과 일관성을 측정하며, Cohen(1960)의 Kappa 계수와 같은 통계로 평가됩니다.
문제 15
다음 중 신뢰도 가운데 일반화 계수라고도 하는 것은?
1. 채점자간 일치도 | 2. 크론박 알파계수 |
3. 구인 타당도 | 4. 예언 타당도 |
해설: 크론박 알파계수는 Cronbach(1951)이 개발한 내적 일관성 신뢰도 지표로, 일반화 이론(Generalizability Theory)에서 종종 일반화 계수로 불립니다.
문제 16
다음 중 관찰법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나 평가에서 효과적인 이유에 해당하는 것은?
1. 유아는 인지 능력이 뛰어나 관찰로 정보수집이 용이함 | 2. 유아는 관찰을 할 때 불필요한 자료를 충분하게 제공함 |
3. 유아는 관찰할 때 보다 일관적으로 반응을 보임 | 4. 유아는 관찰자의 존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 않음 |
해설: 유아는 관찰자의 존재에 민감하지 않아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Piaget(1952)의 발달 이론에 따르면, 유아는 자기중심적 특성으로 인해 외부 관찰에 덜 영향을 받습니다.
문제 17
다음 중 파블로프가 개에게 음식과 불빛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여 고전적 조건화를 이끌어낸 것과 같은 상황에서의 관찰에 해당하는 것은?
1. 조건 관찰 | 2. 통제적 관찰 |
3. 비통제적 관찰 | 4. 자연적 관찰 |
해설: 통제적 관찰은 Pavlov(1927)의 고전적 조건화 실험처럼 변인을 조작하여 관찰하는 방법으로, 실험적 환경에서 행동을 유도합니다.
문제 18
다음 중 아래의 네모에 있는 ⓐ와 ⓑ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합한 것은?
( ⓐ )은(는) 관찰조건이나 장면의 ( ⓑ )이(가) 없는 상황에서 관찰하는 것을 말한다. 관찰 장면이나 상황의 ( ⓑ )이(가) 없는 관찰은 결국 있는 그대로의 자연적인 상황에서 관찰하는 것이다.
1. ⓐ 비통제적 관찰, ⓑ 유연성 | 2. ⓐ 비통제적 관찰, ⓑ 조작 |
3. ⓐ 통제적 관찰, ⓑ 참여 | 4. ⓐ 비통제적 관찰, ⓑ 참여 |
해설: 비통제적 관찰은 조작 없이 자연적 상황에서 이루어지며, Guba & Lincoln(1989)의 질적 연구 방법론에서 자연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문제 19
다음 중 관찰의 준비 단계에서 해야 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관찰목적의 결정 | 2. 관찰자의 관찰 위치 선정 |
3. 관찰한 내용의 기록 | 4. 전사 (transcription) |
해설: 관찰 목적의 결정은 준비 단계의 핵심으로, Spradley(1980)의 민족지학적 관찰 방법론에서 관찰 방향성을 설정하는 첫 단계로 강조됩니다.
문제 20
다음 중 시간표집법의 관찰 기록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컴퓨터를 이용한 관찰기록 | 2. 서술적 관찰기록 |
3. 기술적 관찰기록 | 4. 체크리스트 형식의 관찰기록 |
해설: 시간표집법은 정해진 간격으로 행동을 기록하며, Bakeman & Gottman(1997)의 관찰 연구에 따르면 체크리스트가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적합합니다.
문제 21
다음 중 한 관찰자가 측정 대상을 계속적으로 일관되게 측정했는가를 의미하는 관찰의 신뢰도는?
1. 관찰자간 일치도 | 2. 관찰자내 신뢰도 |
3. 평정자간 일치도 | 4. 관찰자간 신뢰도 |
해설: 관찰자내 신뢰도는 한 관찰자의 일관성을 측정하며, Cronbach(1951)의 신뢰도 이론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합니다.
문제 22
다음 중 일화기록에서의 관찰기록 방법과 주의할 점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일화와 일화 해석은 구분하여 기록한다. | 2. 관찰일시는 기록하지 않는다. |
3. 관찰은 한 번에 끝내도록 한다. | 4. 주된 관찰 대상자만 관찰한다. |
해설: 일화와 해석을 구분하는 것은 Pellegrini(1996)의 관찰 연구에서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핵심으로 강조됩니다.
문제 23
다음의 네모 안에 있는 일화기록 가운데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교실의 ⓐ 자유놀이 시간에 철수와 상수, 영재가 블록 영역에서 블록으로 쌓기 놀이를 하고 있다. 블록을 쌓는 도중 영재가 철수 옆에 있는 ⓑ 블록을 가지고 와서 쌓는다. 그러자 철수는 영재가 가지고 간 블록을 ⓒ 잡아당기면서 “내거야” 라고 한다. 영재도 블록을 놓지 않으면서 “아니야 내가 먼저 가졌어.”라고 한다. 영재와 철수는 블록은 잡고 서로 밀고 당기다가 ⓓ 힘이 빠진 영재가 블록을 놓자 철수는 재빨리 그 블록을 쥐고 옆에 놓는다.
1. ⓐ | 2. ⓑ |
3. ⓒ | 4. ⓓ |
해설: 'ⓓ 힘이 빠진'은 관찰자의 주관적 해석으로, Wright(1960)의 일화기록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객관적 사실만 기록해야 하므로 부적합합니다.
문제 24
다음 중 시간표집법을 이용하여 관찰기록을 하려고 할 때 5분을 관찰할 것인지 혹은 10분을 관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관찰의 횟수 | 2. 관찰의 기록방법 |
3. 관찰의 시간간격 | 4. 관찰의 발생 빈도 |
해설: 시간간격은 시간표집법에서 관찰 주기를 결정하며, Bakeman & Gottman(1997)에 따르면 이는 관찰 빈도와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문제 25
다음 중 시간표집법과 사건표집법을 비교한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간표집법은 서술방식을 사용하여 기록한다. | 2. 사건표집법은 시간 단위에 초점을 둔다. |
3. 시간표집법은 발생 빈도에 관심이 있다. | 4. 사건표집법은 행동의 지속시간에 관심이 있다. |
해설: 시간표집법은 정해진 시간에 행동 발생 빈도를 기록하며, Pellegrini(1996)에 따르면 빈도 분석에 초점을 둡니다. 반면 사건표집법은 특정 사건 발생 시 기록합니다.
문제 26
다음 중 한 가지 현상에 대해 예견할 수 있는 응답을 모두 하위 문항으로 제시하고 그것들 간의 순서를 정하게 하는 질문지 유형은?
1. 분류형 | 2. 체크리스트형 |
3. 선택요구형 | 4. 순위형 |
해설: 순위형은 Likert(1932)의 척도 연구에서 응답자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여러 항목의 순서를 정하게 합니다.
문제 27
다음 중 평정척도를 통해 관찰대상의 행동을 평정할 때 범할 수 있는 오류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근접성의 오류 | 2. 평가의 오류 |
3. 비교의 오류 | 4. 관용의 오류 |
해설: 평정척도 오류로는 근접성, 비교, 관용 등이 있으며, Guilford(1954)의 연구에서 정의됩니다. '평가의 오류'는 특정 오류 유형이 아닌 일반적 용어로, 여기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문제 28
다음 중 사교성과 사회성이 서로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여 이를 서로 유사하게 평정하는 형태의 오류에 해당하는 것은?
1. 논리의 오류 | 2. 비교의 오류 |
3. 근접성의 오류 | 4. 후광효과 |
해설: 논리의 오류는 특성 간 관계를 오해하여 평정하는 경우로, Thorndike(1920)의 연구에서 평정 오류의 하나로 언급됩니다.
문제 29
다음 중 설문지법보다 회수율이 높고 무응답의 가능성이 낮은 조사연구방법은?
1. 체크리스트법 | 2. 인과비교법 |
3. 실험표집법 | 4. 면접법 |
해설: 면접법은 대면 조사로 회수율과 응답률이 높으며, Dillman(1978)의 조사 방법론에서 설문지법 대비 장점으로 꼽힙니다.
문제 30
다음 중 구조적 면접과 비구조적 면접의 혼합 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1. 체계적 면접 | 2. 반구조화된 면접 |
3. 반체계적 면접 | 4. 심층면접 |
해설: 반구조화된 면접은 Patton(2002)의 질적 연구에서 구조적 질문과 자유 응답을 결합한 형태로 정의됩니다.
문제 31
다음 중 질적연구의 특징 가운데 연구문제를 처음부터 구체적으로 진술하지 않고 연구를 하면서 연구문제를 형성하는 것과 같이 융통성을 보이는 것에 해당하는 것은?
1. 귀납적인 자료수집 | 2. 주관성의 파악 |
3. 발생적 연구설계 | 4. 의미중심의 파악 |
해설: 발생적 연구설계는 Glaser & Strauss(1967)의 근거이론에서 연구 과정 중 문제를 형성하는 질적 연구의 융통성을 나타냅니다.
문제 32
다음 중 연구의 초점을 하나 또는 몇 개의 관련 상황이나 문화적 영역들에 초점을 두어 관찰하는 것은?
1. 집중 관찰 | 2. 심층 관찰 |
3. 기술적 관찰 | 4. 체계적 관찰 |
해설: 집중 관찰은 Spradley(1980)의 민족지학에서 특정 상황에 초점을 맞춘 관찰 방법으로 정의됩니다.
문제 33
다음 중 질적 연구의 방법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귀결되는 것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묶인 것은?
1. 참다운 값, 적용가능성, 개연성 | 2. 적용가능성, 일관성, 중립성 |
3. 개연성, 확증성, 적용가능성 | 4. 중립성, 일관성, 부가가능성 |
해설: 질적 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는 Lincoln & Guba(1985)의 기준(적용가능성, 일관성, 중립성)으로 평가됩니다.
문제 34
다음 중 동료에게 자료수집이나 분석에 대해 조언을 얻어 질적연구의 신빙성 높이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전문가 분석 | 2. 구성원 점검 |
3. 삼각 측정 | 4. 동료 보고 |
해설: 동료 보고는 Lincoln & Guba(1985)의 신빙성 강화 기법으로, 동료 피드백을 통해 연구의 객관성을 높입니다.
문제 35
다음 중 포트폴리오 평가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교사가 수업목표를 적용하기가 용이하다. | 2. 검사도구에 따라 평가 결과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
3. 학습자들이 만든 결과물로 평가한다. | 4. 단기간에 평가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
해설: 포트폴리오 평가는 Wiggins(1998)의 진정한 평가 이론에 따라 학습자 결과물로 과정과 성과를 평가하며, 장기적 관점이 특징입니다.
'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기출문제 > 교육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3년 1학기) (0) | 2025.03.01 |
---|---|
교육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4년 1학기) (0) | 2025.03.01 |
교육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6년 1학기) (0) | 2025.03.01 |
교육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7년 1학기) (1) | 2025.03.01 |
교육평가 기말시험 모의고사 (2018년 1학기) (0) | 2025.03.01 |